2012.04.03 12:35

복음의 핵심, 십자가

조회 수 20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7065965765.jpg

 

 

마틴 로이드 존즈목사님이 그의 책 “부흥”에서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당신이 목회하는 교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상담을 하러 왔을 때에 “당신이 오늘 죽는다면?”이란 질문을 했답니다. 많은 이들이 오랜동안 그리스도인으로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대답을 했답니다.

 

“저는 하나님을 믿습니다.”  
“착하게 살려고 노력했습니다.”
“저의 죄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용서해 주실 것입니다.”

 

잘 대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러나 그 복음의 핵심이 되는 십자가와 그리스도에 대하여 한마디도 하지 않는 것을 보았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를 구원하시는 복음의 핵심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있다는 사실을 압니다. 그 신자가가 아니고는 우리가 도무지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에 들어 갈 방법이 없다는 사실도 우리는 압니다. 다만 안다는 것이 우리의 확신과 믿음의 고백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어쩌면 지금 나의 모습도 그들과 같지는 않는지를 살펴봅니다.

 

기독교의 핵심은 십자가입니다. 잘 만들어진 금목걸이에 달려 있는 십자가이거나 강단 뒷편에 붙어 있는 십자가가 아니라 예수님이 달리셔서 피를 흘리시고 죽어가신 그 십자가입니다.

 

교회는 그 십자가 위에 세워진 공동체입니다. 그 죽음으로 함께 죽임 당하고 그 부활과 함께 살아난 이들이 모인 곳이 교회입니다. 그러므로 교회에서는 언제라도 그 십자가가 찬양되고 예수님의 구원의 죽으심이 자랑되어야 합니다.

 

십자가는 바로 나의 죄가 하나님의 심판 아래 드러난 곳이며 그 죄를 아무렇지도 않게 용서하신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생명을 거두어 가심으로 댓가를 치르게 하신 곳입니다.

 

삽자가는 나를 사랑하시지만 결코 내가 도달할 수 없는 하나님의 의로우신 백성의 자리에 예수님의 피로 통하여 옮겨 놓으신 곳입니다. 그렇게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확인한 곳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매일 교회에서 모일 때 마다 나의 죄를 대신하여 죽으신 십자가를 사모하며 바라보고 높이며 찬양해야 합니다. 그 십자가만을 유일한 자랑이어야 합니다. 우리가 이 세상에서 가질 수 있는 것들과 바라는 것들은 이제 우리의 목적지가 되어서는 않됩니다. 우리는 그저 십자가로 인하여 얻게된 생명을 따라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것을 바라보는 삶이어야 합니다.

 

지붕에 물이 스며서 바닥으로 물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이미 그 지붕은 오래전부터 물이 샌것이라고 말합니다. 물이 조금씩 새서 지붕을 적시다가 그 정도가 심해질대로 심해지면 비로소 천정을 뚫고 물이 바닥으로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물이 새는 지붕을 뜯어보면 석가래가 많이 썩어버린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신앙도 그렇습니다. 처음에는 우리가 복음의 핵심을 붙잡지 못하고 조금씩 다른 곳으로 흘러가도 우리에게서 이상을 느낄 수 없습니다. 여전히 잘믿는 성도이고 예배에 참여하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심지어 말씀에 은혜를 받고 그 삶에서 하나님의 복주시는 것을 경험하는 것 같을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그러나 십자가의 복음이라는 핵심에 믿음이 놓여 있지 않고 나의 죄인됨을 인하여 죽으신 십자가의 은혜를 바로 알지 못하면서 살아가는 신앙을 언젠가는 크게 무너짐이 있는 모래위의 집과 같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인생의 어떤 문제나 상황의 어려움과 관계의 아픔들이 우리의 믿음을 흔들지 않도록 나의 믿음과 신앙을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님의 구원위에 둘 수 있기를 바랍니다. 나의 죄를 그곳에서 사하시고 하나님의 자녀로 옮겨주신 그 십자가, 그 참혹한 심판의 자리를 기억하고 그곳에서 건짐 받은 감격으로 살기를 바랍니다. 고난주간을 맞이하면서 감정이전에 믿음의 자리를 확인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1. 목사와 그리스도인 

    2차 세계대전 중에 독일의 히틀러에 반대하여 히틀럼 암살작전이 있었습니다. 일명 “작전명 발키리”로 알려진 작전이었고 여기에 꽤 특별한 사람이 가담했다고 알려졌습니다. 그는 독일의 신학자 디트리히 본 회퍼라는 인물입니다. 본 회퍼는 우...
    Date2024.06.11
    Read More
  2. 평안의 이유 

    지난 일주일간 몸이 조금 무거웠습니다. 열왕기서 말씀을 묵상하면서 만나는 이야기들과 현시대의 뉴스들 사이에서 이런저런 고민들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몸이야 다른 이유로 불편할 수도 있었을테지만 들려오는 뉴스들과 묵상하는 말씀의 무거움이 이것을 ...
    Date2024.06.11
    Read More
  3. 어쩔수 없는 그리스도인

    무위당 장일순선생이란 분이 계십니다. 이미 돌아가신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소박한 농부로 그러나 생각의 거인으로 사셨던 분이시지요. 그분이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이 사람아! 바람이 서쪽으로 불어도 동으로 눕는 잎이 있는 법이...
    Date2024.05.05
    Read More
  4. 느리게 살기

    20여년 전에 “사소한, 그러나 소중한”이란 책을 쓰다가 세상을 떠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필가인 피에르 쌍소(Pierre Sansot)란 사람이 있습니다. 그가 쓴 “느리게 살기”란 책이 세상에 소개되면서 느림이란 삶의 모습에 대해 이야...
    Date2024.05.02
    Read More
  5. 십자가에 튼 둥지

    매년 봄이되면 교회 입구에 있는 십자가에 새가 둥지를 틉니다. 아마도 바람을 피하기도 좋고 밤에도 작은 빛이 있어서 보온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겠다 싶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교회를 들어 설 때면 어미새들이 경계하며 날아 오르는 것을 봅니다. 십자가 ...
    Date2024.04.21
    Read More
  6. 잃어버린 것들

    예전에 미국에서 방영한 “lost” 드라마가 있습니다. 길을 잃은 사람들 이야기이자 비행기 추락으로 세상과 단절된 곳에 남은 사람들 이야기입니다. 그들은 잃어버린 바 된 사람들이지만 또 잃어버린 사람들이기도 합니다. 때로는 사랑을, 삶을 이...
    Date2024.04.16
    Read More
  7. 행복 비용

    누군가를 행복하게 할 수 있는 비용이란 말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그리 눈 앞에 그려지지 않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일상에서 누군가로 인해 행복해 하고 누군가에게 기쁨을 주기 위해 노력하기도 해서 그 순간 드는 비용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물론 내가 사랑...
    Date2024.04.09
    Read More
  8. 커피와 묵상

    한국인들의 커피 소비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기사가 있습니다. 일인당 일년 평균 소비량이 370잔 정도여서 프랑스에 이어 2위이고 이 수치는 미국, 캐나다와 비슷하지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특별한 커피를 찾아 마...
    Date2024.03.26
    Read More
  9. 소풍

    천상병시인은 이 세상의 삶을 소풍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땅으로 소풍왔다가 이제 다시 집으로 돌아 가는 것이 삶이라고 말입니다. 어떤 이들은 여행으로 또 다른 이들은 치열한 전투로도 표현하지만 그리스도인들에게 인생은 나그네의 삶입니다. 나그네로 사...
    Date2024.03.20
    Read More
  10. 음악이 주는 힘

    가끔 아프리카 사람들의 음악을 듣습니다. 굳이 흑인음악으로 표현하지 않고 아프리카 사람들의 음악이라고 하는 것은 현대적으로 변화되지 않은 아프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의 음악이라는 의미에서 일 것입니다. 고등학교를 다니던 언젠가 길에서 우연히 듣게 ...
    Date2024.03.1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