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30 10:14

작은 사랑을 나누며

조회 수 13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작은 사랑을 나누며


김요환목사


얼마전 한국에서 작고하신 박완서 선생님이 유언으로 남기신 말씀중에 "문인들은 가난하다. 문인들 오면 조의금 받지 말고 후히 대접해 줘라"고 하셨다지요. 그런데 그 일이 있고 얼마지 않아서는 전도가 유망한 한 젊은 작가 한명이 평소에 가지고 있던 지병과 굶주림이 원인이되어 세상을 떠났다는 기사도 있었구요. 온 세상에 먹을 것이 넘처나는 것과 같은 세상에서 그것도 서울 한 복판에서 이런 일이 일어 난것을 두고 참 많은 이야기들이 있었던 것도 보았습니다.

어디 이 소식 뿐이겠습니까? 세계 곳곳에서 들려오는 소식은 현재 우리가 먹고 사는 삶을 무색하게 할만합니다. 더욱이 세계에서 가장 풍요롭게 먹고 사는 나라중에 살고 있는 현실을 통해서 본다면 너무 비현실 적이기까지 합니다. 아마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이런 이야기들을 한다면 도무지 믿을 수 없다고들 할것입니다.

우리가 기도하며 후원하기로 한 선교사님들이 계신 나라들만 보아도 그중 어느나라 한곳도 풍요롭고 넉넉한 음식을 먹을 수 없음을 봅니다. 중국과 북한, 아프리카와 아이티까지 모두 궁핍하고 안타까운 사연들이 넘처나는 곳입니다. 그곳을 바라보면 참으로 "하나님 왜 이 땅을 돌아보지 않으십니까?" 외치고픈 마음이 듭니다.

어찌 하나님이 그들을 사랑하지 않아서일까요? 하나님의 사랑을 받은 우리들이 여전히 그 사랑을 나누지 않아서이겠지요. 가끔 이런 기사들을 접하고 또 들으면서 순식간에 마음 한쪽이 서늘하게 식는 것을 봅니다. 아주 잠시일지라도 나의 사랑 없음을 떠올리고 나의 사치아니 사치의 삶을 부끄러워합니다. 당장 그 사람들의 삶을 바꿀 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슴 아파하는 마음 조차 부끄러워집니다.

이렇게 주보에 글을 쓰면서 또다시 이 글이 한번 선동하여 감정을 끌어 올리는 글이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아니 오히려 그렇게 글이 쓰여질가 두렵기도합니다. 내가 쓰는 글들 처럼 내가 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의 말들이 오히려 나의 생활을 비난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래도 함께 고민하고 나누는 일들이 필요하겠지요. 잠간이어도 한번 그들을 기억하고 위해서 기도할 틈을 얻기 위해서라도 말입니다.

선교지를 생각하고 또 연약한 이들을 생각할 때 가장 피해야 할 것 중에 하나가 바로 감상적인 접근일지 모릅니다. 한번에 감정적으로 그들에 대하여 불쌍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그 감정이 식어지는 것 말입니다. 물론 우리들의 감정이 긍휼을 품게 하고 그로 인하여 우리가 조금씩이라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것에서 우리의 모든 것을 나누어야 할 것 처럼 이야기하고 생각 할 것이 아니라 아주 작은 부분이라도 지속적으로 실천할 결단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 정도는 그 땅을 기억하면서 기도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 혹은 나의 책상 머리에 그들을 생각 할 만한 글이나 사진을 붙여 놓고 잊지 않는 것, 나아가서 나의 물질 중에 우주 작은 부분이라도 그들을 위해 조금씩 모으거나 나누는 일을 실천하는 것들 말입니다. 그리고 그런 일에 가족과 함께 결단하고 실천하는 것도 좋겠지요.

혹시 여러분들의 집에 동전을 모으는 통이 있다면 그 동전을 모으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겁니다. 작은 동전함을 하나씩 마련해서 선교지에 필요를 채우는 일에 쓰거나 돕는 일에 쓰는 것도 그 땅을 잊지 않는 방법일 겁니다.

2011년 우리들이 여전히 풍요로운 땅에서 살아가게 하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이곳에서의 삶이 또한 그리 녹녹하지 않지만 그래도 우리가 누리는 삶을 조금 나누어 이 땅에서 아파하고 힘들어 하는 이들에게로 흘려 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 일에 우리의 마음을 두고 우리의 시간을 두면 분명히 그 일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과 구원의 은혜도 함게 그 땅에 흘러 들어가리라 믿습니다.

나누는 즐거움과 함께 하는 행복은 예수님이 당신의 생명을 나누심으로 우리에게 가르치신 가장 소중하고 아름다운 사랑입니다. 그 사랑이 우리 가정과 교회 안에 넘치기를 기도합니다.


  1. 자녀를 위한 기도

    어린이주일입니다. 캐나다에서 어린이주일이 어디있느냐고 할 수도 있고 어떤 분의 말 처럼 일년이 다 어린이를 위한 날인데 굳이 어린이 날을 기념할 필요가 있느냐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하나님이 우리를 부모로 만드시고 세우셨기에 누군가의 아...
    Date2016.05.03
    Read More
  2. 자녀를 위한 눈물

    한국에서 청년사역을 하는 후배목사로부터 지금 청년들이 처한 상황과 모습이 너무도 안타깝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어느때보다 부유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어느때보다 가난한 세대이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애쓰고 노력해도 가지고 태어난 형편을...
    Date2022.09.03
    Read More
  3. 자연스러움의 힘

    2005년 4월, 밀라노국제가구박람회. 일본의 유명 디자이너 후카사와 나오토는 마지스 사의 주문으로 디자인한 알루미늄 스툴 시리즈를 출품합니다. 스툴이란 등받이나 팔걸이가 없는 간단한 의자를 말합니다. 그가 출품한 의자는 참 간단하고 편안해 보였습니...
    Date2016.07.05
    Read More
  4. No Image

    자연스럼움<하나님을 닮음>

    지난 주간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들려오는 세상의 이야기들은 행복하고 즐거운 것보다 아프고 힘겨운 이야기들이 많았습니다. 한국에서 들려오는 이야기들은 어쩌면 한 걸음 떨어져 있기에 더 가슴이 아픕니다. 지난주 해병대에서 일어난 총기사고 소식을 접하...
    Date2011.07.14
    Read More
  5. No Image

    작은 사랑을 나누며

    작은 사랑을 나누며 김요환목사 얼마전 한국에서 작고하신 박완서 선생님이 유언으로 남기신 말씀중에 "문인들은 가난하다. 문인들 오면 조의금 받지 말고 후히 대접해 줘라"고 하셨다지요. 그런데 그 일이 있고 얼마지 않아서는 전도가 유망한 한 젊은 작가 ...
    Date2011.06.30
    Read More
  6. 잔치국수

    국수에 잔치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는 것은 요즘은 조금 생격한 일입니다. 요즘 잔치에서 국수를 먹는 일이 드물고 국수와 잔치가 그리 잘 연결되지 않기 때문일것입니다. 그래서 요즘 한국에서는 장터국수라는 이름으로도 잘 불리우고 팔리고 있는 모양입니...
    Date2018.08.14
    Read More
  7. 잘 넘어지는 연습

    ‘잘 넘어지는 연습’이란 책 제목이 흥미가 있어서 내용을 살펴보다가 글을 쓴 사람이 유도 국가대표였던 조준호 선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마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따기도 한 선수이고 한국 예능 프로그램에도 나와서 쌍둥이 형제와 장...
    Date2019.02.27
    Read More
  8. 잘 아는 유익한 일의 어려움

    하나 어려서부터 늘 들어오던 이야기가 있습니다. 주로 어머니로부터 애정어린 잔소리로 들었던 것을 요즘은 제가 아이들에게 하고 있습니다. “제때 일어나서 밥을 먹어라.” “밥 먹을 때는 편식하지 말고 꼭꼭 십어 먹어라.” “...
    Date2021.02.28
    Read More
  9. 잡히시던 날 밤에 우리는?

    마가복음 14:43~52 14:43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곧 열둘 중의 하나인 유다가 왔는데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장로들에게서 파송된 무리가 검과 몽치를 가지고 그와 함께 하였더라 14:44 예수를 파는 자가 이미 그들과 군호를 짜 이르되 내가 입맞추는 자가...
    Date2020.04.08
    Read More
  10. 재난지원금과 은혜

    코로나 사태가 계속되면서 각국 정부에서 국민들의 생활을 위해 “긴급재난지원금”이란 것들을 나누어주었습니다. 한국정부나 캐나다 정부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 상황 가운데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삶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특별...
    Date2020.06.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