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30 10:14

작은 사랑을 나누며

조회 수 13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작은 사랑을 나누며


김요환목사


얼마전 한국에서 작고하신 박완서 선생님이 유언으로 남기신 말씀중에 "문인들은 가난하다. 문인들 오면 조의금 받지 말고 후히 대접해 줘라"고 하셨다지요. 그런데 그 일이 있고 얼마지 않아서는 전도가 유망한 한 젊은 작가 한명이 평소에 가지고 있던 지병과 굶주림이 원인이되어 세상을 떠났다는 기사도 있었구요. 온 세상에 먹을 것이 넘처나는 것과 같은 세상에서 그것도 서울 한 복판에서 이런 일이 일어 난것을 두고 참 많은 이야기들이 있었던 것도 보았습니다.

어디 이 소식 뿐이겠습니까? 세계 곳곳에서 들려오는 소식은 현재 우리가 먹고 사는 삶을 무색하게 할만합니다. 더욱이 세계에서 가장 풍요롭게 먹고 사는 나라중에 살고 있는 현실을 통해서 본다면 너무 비현실 적이기까지 합니다. 아마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이런 이야기들을 한다면 도무지 믿을 수 없다고들 할것입니다.

우리가 기도하며 후원하기로 한 선교사님들이 계신 나라들만 보아도 그중 어느나라 한곳도 풍요롭고 넉넉한 음식을 먹을 수 없음을 봅니다. 중국과 북한, 아프리카와 아이티까지 모두 궁핍하고 안타까운 사연들이 넘처나는 곳입니다. 그곳을 바라보면 참으로 "하나님 왜 이 땅을 돌아보지 않으십니까?" 외치고픈 마음이 듭니다.

어찌 하나님이 그들을 사랑하지 않아서일까요? 하나님의 사랑을 받은 우리들이 여전히 그 사랑을 나누지 않아서이겠지요. 가끔 이런 기사들을 접하고 또 들으면서 순식간에 마음 한쪽이 서늘하게 식는 것을 봅니다. 아주 잠시일지라도 나의 사랑 없음을 떠올리고 나의 사치아니 사치의 삶을 부끄러워합니다. 당장 그 사람들의 삶을 바꿀 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슴 아파하는 마음 조차 부끄러워집니다.

이렇게 주보에 글을 쓰면서 또다시 이 글이 한번 선동하여 감정을 끌어 올리는 글이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아니 오히려 그렇게 글이 쓰여질가 두렵기도합니다. 내가 쓰는 글들 처럼 내가 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의 말들이 오히려 나의 생활을 비난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래도 함께 고민하고 나누는 일들이 필요하겠지요. 잠간이어도 한번 그들을 기억하고 위해서 기도할 틈을 얻기 위해서라도 말입니다.

선교지를 생각하고 또 연약한 이들을 생각할 때 가장 피해야 할 것 중에 하나가 바로 감상적인 접근일지 모릅니다. 한번에 감정적으로 그들에 대하여 불쌍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그 감정이 식어지는 것 말입니다. 물론 우리들의 감정이 긍휼을 품게 하고 그로 인하여 우리가 조금씩이라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것에서 우리의 모든 것을 나누어야 할 것 처럼 이야기하고 생각 할 것이 아니라 아주 작은 부분이라도 지속적으로 실천할 결단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 정도는 그 땅을 기억하면서 기도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 혹은 나의 책상 머리에 그들을 생각 할 만한 글이나 사진을 붙여 놓고 잊지 않는 것, 나아가서 나의 물질 중에 우주 작은 부분이라도 그들을 위해 조금씩 모으거나 나누는 일을 실천하는 것들 말입니다. 그리고 그런 일에 가족과 함께 결단하고 실천하는 것도 좋겠지요.

혹시 여러분들의 집에 동전을 모으는 통이 있다면 그 동전을 모으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겁니다. 작은 동전함을 하나씩 마련해서 선교지에 필요를 채우는 일에 쓰거나 돕는 일에 쓰는 것도 그 땅을 잊지 않는 방법일 겁니다.

2011년 우리들이 여전히 풍요로운 땅에서 살아가게 하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이곳에서의 삶이 또한 그리 녹녹하지 않지만 그래도 우리가 누리는 삶을 조금 나누어 이 땅에서 아파하고 힘들어 하는 이들에게로 흘려 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 일에 우리의 마음을 두고 우리의 시간을 두면 분명히 그 일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과 구원의 은혜도 함게 그 땅에 흘러 들어가리라 믿습니다.

나누는 즐거움과 함께 하는 행복은 예수님이 당신의 생명을 나누심으로 우리에게 가르치신 가장 소중하고 아름다운 사랑입니다. 그 사랑이 우리 가정과 교회 안에 넘치기를 기도합니다.


  1. No Image

    서로 격려하기

    서로 격려하기 사람이 산다는 것이 무상하다고들 말합니다. 주로 연세가 많으신 어른들이 그렇게들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나이도 많지 않은것이 방자하게도 최근들어는 "이런 생각들이 삶을 무상하게 느끼도록 하는것이로구나"고 느낄때가 있습니다. 벌써그런...
    Date2011.06.30
    Read More
  2. No Image

    작은 사랑을 나누며

    작은 사랑을 나누며 김요환목사 얼마전 한국에서 작고하신 박완서 선생님이 유언으로 남기신 말씀중에 "문인들은 가난하다. 문인들 오면 조의금 받지 말고 후히 대접해 줘라"고 하셨다지요. 그런데 그 일이 있고 얼마지 않아서는 전도가 유망한 한 젊은 작가 ...
    Date2011.06.30
    Read More
  3. No Image

    35년을 한결같이

    35년을 한결같이 김요환 목사 매년 맞이하는 교회 창립주일이지만 그렇다고 늘 같은 것은 아닙니다. 특별히 저에게는 하나님이 런던제일장로교회를 섬기라 보내주시고 위임하게 된 주일일 뿐만 아니라 담임목사로 맞이하는 첫 창립기념주일이기 때문입니다. 덕...
    Date2011.06.30
    Read More
  4. No Image

    삶의 지혜와 유약함

    삶의 지혜와 유약함 김요환 목사 90세가 되어 시를 처음 지어보았다는 100세 할머니 시인 '시바타 도요' 할머니의 첫 시집은 작년에 나와서 지금 100만부 이상이 팔렸답니다. 그 시 모음을 읽다가 참으로 그 깊은 삶의 이야기에 감동을 받습니다. 차마 향기라 ...
    Date2011.06.30
    Read More
  5. No Image

    고난 가운데서도

    고난 가운데서도 이번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곳인 후쿠시마에 있는 교회 홈페이지를 통해 전해진 간증입니다. 이 교회에도 여전히 원전에서 수습작업을 하고 있는 성도가 4명이 있다고 합니다. 아래는 "후쿠시마 제일 성서침례교회"의 홈페이지에 「피난생...
    Date2011.06.30
    Read More
  6. No Image

    아버지의 마음

    아버지의 마음 당신의 마음을 주소서 나는 비로소 “주님, 이제 저에게 주님의 마음을 주십시오.” 라고 기도했습니다. 그러자 갑자기 통곡이 터져 나왔습니다. 말할 수 없을 만큼 가슴이 아팠습니다. 울다가 지켜서 탈진 상태에 이르렀을 때 ‘내가 지금 왜 이렇...
    Date2011.06.30
    Read More
  7. No Image

    어떤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은 채긍병 어떤 사람들은 사랑을 한다고 하기는 하는데 그 사랑이라고 하는 것이 겨우 지렁이 콧구멍 반만큼도 안되는 작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대는 자기를 위해 죽어주기까지 사랑해야 한다고 억지를 부리고 있습니다. 아울러 자기의 사랑의 댓...
    Date2011.06.30
    Read More
  8. No Image

    하나님을 아는 방법

    하나님을 아는 방법 어떤 일을 배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 일을 실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당신이 주님께로부터 순종을 배울 수 있는 방법도 여러분의 의지를 그분께 내어맡겨 오직 그의 뜻대로만 행하는 것을 여러분의 유일한 소원과 기쁨으로 삼는 것...
    Date2011.06.30
    Read More
  9. No Image

    혹시 헌신을 사랑합니까?

    혹시 헌신을 사랑합니까? 오스왈드 챔버스 그 사람이 큰 부자이므로 이 말씀을 듣고 심히 근심하더라(눅 18:23) 젊은 부자 관원은 말없이 슬픔을 가지고 떠났습니다. 그는 할 말이 없었습니다. 그는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에 대해 의심도 없었고 그 의미에 대...
    Date2011.06.30
    Read More
  10. No Image

    억지로라도 했어야죠?

    억지로라도 했어야죠! 김요환 갈릴리마을 최용덕간사님의 글을 읽다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간사님의 늦둥이 아들이 이제 초등학교 2학년인데 입이 좀 짧은 모양입니다. 음식을 먹을 때에 야채를 먹지 않아서 씨름을 하다가 아들이 아빠를 원망하면...
    Date2011.06.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