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3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같은 길을 걷고 싶어요

김요환

사람들은 남의 삶에 그다지 관심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남을 쳐다볼 때는 부러워서든 불쌍해서든 그저 호기심이나 구경 차원을 넘지 않는다.

내가 살아보니까, 정말이지 명품 핸드백을 들고 다니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든 중요한 것은 그 내용물이란 것이다.

내가 살아보니까, 남들의 가치 기준에 따라 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고, 나를 남과 비교하는 것이 얼마나 시간 낭비고, 그렇게 함으로써 내 가치를 깎아 내리는 바보 같은 짓인 줄 알겠다는 것이다.

내가 살아보니까, 결국 중요한 것은 껍데기가 아니고 알맹이이다. 겉모습이 아니라 마음이다. 예쁘고 잘생긴 사람은 TV에서 보거나 거리에서 구경하면 되고 내 실속 차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 재미있게 공부해서 실력 쌓고, 진지하게 놀아서 경험 쌓고, 진정으로 남을 대해 덕을 쌓는 것이 결국 내 실속이다.

내가 살아보니까, 내가 주는 친절과 사랑은 밑지는 적이 없다. 소중한 사람을 만나는 것은 1분이 걸리고, 그리고 그와 사귀는 것은 한 시간이 걸리고, 그를 사랑하게 되는 것은 하루가 걸리지만 그를 잊어버리는 것은 일생이 걸린다는 말이 있다. 남의 마음속에 좋은 기억으로 남는 것만큼 보장된 투자는 없다.

- 장영희 에세이”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중에서 -

장영희교수는 1살때 앓은 소아마비로 평생을 장애를 안고 살았습니다. 거기에 인생의 마지막 몇년을 유방암으로, 전이된 척추암으로 고생하며 이 긴 투병을 이기고 다시 선 강단에서 끝내 간으로 전이된 암을 이기지 못하고 하늘나라로 간 어쩌면 불행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녀를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은 오히려 “행복한 사람”, “맑고 투명하며 용기 있는 사람”으로 기억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다시 일어서는 법을 가르치기 위하여 쓰러뜨린다”고 말하던 장영희교수는 자기에게 있는 그 소망과 힘의 근원으로 아버지를 꼽기를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그녀의 아버지인 장장왕록교수를 통해 그녀는 인생을 살아가는 길과 용기를 배웠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아버지와 같은 영문학교수의 길을 가면서 아버지가 배웠던 교수님에게 배우고 그 마음을 닮으려 애썼다고 고백합니다.

한 사람이 이 세상에서 자기에게 주어진 인생을 아름답게 살기위해 애쓰고 그 길 위에서 만나는 많은 어려움을 이기는데 또 다른 한 사람이 의미를 가지는 일이 얼마나 아름다운지요. 특별히 장영희교수가 쓴 저 글에서 처럼 좀처럼 남들에게 깊은 관심을 가지지 않는 세상에서 말입니다.

그녀는 스스로 아버지를 아름다운 사람으로 기억하고 자기가 같은 길을 갈 사람으로 삼아 살아갔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참 많은 이들이 그녀의 뒤를 따라 또 용기를 가지고 이 세상을 살아가려고 합니다. 어떠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잃지 않고 살아가는 지혜를 배우면서 말입니다.

딸들을 둔 아버지로 한편 참 부끄러운 생각이 듭니다. 내 딸들은 과연 나를 닮고 싶은 아버지로 생각하고 있을까? 녀석들이 자라면서 이전에 내가 숨쉬던 땅과 배우던 학교, 거닐며 고민하던 길들을 걸으며 같은 고민을 하고 싶어 할까? 아니 그렇게 그리워하고 배우며 용기를 얻을 수 있있을까?

딸들에게 또는 다른 이들에게 나란 존재가 따뜻한 기억으로 용기를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있을까? 작은 한마디 말과 웃음짖는 표정 하나가 그들에게 작은 위안이 되고 있는 것일까?

이전에도 그러했지만 앞으로도 그렇게 나를 통해 아름다운 것을 전하지도 용기를 나누지도 부드럼고 따뜻한 웃음을 나누지도 못하고 이기적으로 살지는 말아야 할텐데..... 바쁜 시간을 살아가다가 보면 하나님이 내게 허락해 주신 좋은 것들을 잊어버리고 지금 이 땅에서 죄인들이 가득차 갈망하는 세상의 유혹과 욕심으로 때로 불만하고 분노하며 살아가게 됩니다.

생각해보면 나 역시 아버지의 뒤를 따라 같은 길을 걸으면서 그때에 아버지는 어떻게 하셨는지를 생각하고 그 길에서 배우곤 하는 것을 봅니다. 적어도 내 자녀들이 나의 뒤를 따라 걸으며 같은 마음으로 갈 수 있도록은 노력해야 겠습니다. 내가 할 수 없는 것은 하나님께 맡기고요...


  1. No Image

    감정형 아이 & 사고형 아이 (추천도서 : 기질을 알면 자녀가 보인다)

    [ 감정형의 아이 ] 많은 기질 중에서 감정형의 기질을 지닌 아이는 자신이 결정하는 모든 것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지에 대해 무척 예민합니다. 그러다보니 가끔 부모의 말씀에 대해 “왜 그래야 되지요?”라는 질문을 헸을 때 “엄마가 ...
    Date2011.06.30
    Read More
  2. 강이 흐르며 생명을 살린다

    성경은 태초에 하나님이 만드신 에덴동산에 네개의 강이 있었다고 알려줍니다. 그 강들은 에덴에서부터 사방으로 갈라져 나와 흐르면서 땅을 적시고 그곳에 생명을 살리는 근원이 되었습니다. “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
    Date2017.03.28
    Read More
  3. No Image

    같은 걸음으로

    “길 위에서”라는 말을 참 좋아합니다. 내가 살아가는 삶 속에서 만나는 것들과 하는 일들 그리고 경험하고 견디어 내는 시간들을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 같아서입니다. 우리들의 삶은 조금은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 가끔은 좋은 길도 있고 ...
    Date2014.12.19
    Read More
  4. No Image

    같은 길을 걷고 싶어요

    같은 길을 걷고 싶어요 김요환 사람들은 남의 삶에 그다지 관심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남을 쳐다볼 때는 부러워서든 불쌍해서든 그저 호기심이나 구경 차원을 넘지 않는다. 내가 살아보니까, 정말이지 명품 핸드백을 들고 다니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든 중요...
    Date2011.06.30
    Read More
  5. No Image

    같은 자리에서 끝맺기를

    2014년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은 에볼라와 싸우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에볼라 환자들을 치료하던 도중 미국인 첫 에볼라 감염자가 된 의료선교사 켄트 브랜틀리, 간병활동을 하다 에볼라에 감염된 선교사 낸시 라이트볼등과 같은 사람들이었습니다. 특별...
    Date2015.07.21
    Read More
  6. 거울속에 비친 나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거울은 아주 단순하면서도 놀라운 발명품입니다. 그 자체가 가치로운 것이거나 아주 중요한 일을 하고 있는것 같지는 않지만 거울이 우리에게 비치는 영향은 놀랄만큼 많습니다. 적어도 거울이 선명하게 우리를 비추어 줄 수 있게 ...
    Date2018.05.23
    Read More
  7. No Image

    거침없는 사랑 앞에서

    김용택시인은 그의 시 ‘그대, 거침없는 사랑’이란 시에서 이렇게 노래합니다. 아무도 막지 못할/ 새벽처럼/ 거침없이 달려오는/ 그대 앞에서 나는/ 꼼짝 못하는/ 한떨기 들꽃으로 피어납니다.... 중략.... 누구의 사랑인지 알지 못하지만 저는 하...
    Date2015.11.25
    Read More
  8. No Image

    건강한 교회가 되기 위한 십계명(2010년1월10일)

    건강한 교회가 되기 위한 십계명 1. 목회동기와 소명의식을 분명히 하라 목사가 건강해야 교회가 건강해지고 건강한 교회는 반드시 성장한다. 건강한 목회자는 하나님께서 부르신 자로서 하나님의 영광과 영혼구원이 삶의 목적이 되며 목회의 동기가 되는 자이...
    Date2011.06.30
    Read More
  9. 건강한 몸과 건강한 마음

    어릴 때 운동회를 하면 늘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란 슬로건이 생각이 납니다. 그것 때문인지 몰라도 이후로 육체가 건강해야만 정신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 이 말은 고대 로마의 시인이었던 유베나리스가...
    Date2017.05.31
    Read More
  10. 걷다가 보면

    지난주에 신문에 재미있는(?) 기사가 하나 났습니다. 무작정 집을 나갔던 한 캐나다 청년이 5년만에 집에 돌아온 이야기입니다. 지난 6일에 안톤 필리파라는 캐나다 사람이 토론토 공항에 도착했습니다. 그는 2012년에 토론토 집을 나간뒤 소식이 끊어져 5년...
    Date2017.02.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