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5.20 12:55

있는 그대로를

조회 수 2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은 참 많은 색들이 우리 주변을 덮고 있습니다. 새로 올라오는 새싹들이 보여주는 생명의 색들이며, 조그마한 줄기에 붙은 알록달록한 예쁜 꽃들이 보여주는 아름다운 색들은 우리 마음을 즐겁게합니다.

나무는 나무대로 꽃은 꽃들대로 자기가 가진 아름다움을 마음껏 드러내는 계절인 것 같습니다. 아마 사람들도 그런 때가 있을겁니다. 자기의 색깔을 조심스레 드러내며 다른 이들 앞에서 그 아름다움을 뽐내는 시기들이 있을 것입니다.

가을 단풍이 아름답고 황홀하듯이 이른 봄이 주는 싱그러움은 또한 한없이 생기 넘치고 즐겁습니다. 우리는 각자가 가진 그 때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오늘 살아갑니다. 그리고 그 아름다움은 다른 이들의 격려와 칭찬을 통해서 더 풍성한 모습을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사람이 누군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 준다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 모릅니다. 사람 뿐만이 아니라 이 세상에 많은 생명들 역시 같을 것입니다. 서로가 가진 모양과 색깔을 인정하고 그것을 칭찬하는 것들이 우리의 삶을 더욱 풍성하고 힘있게 할 것입니다.

누군가는 “칭찬”을 하는 것이 우리의 자녀들을 얼마나 멋지게 자라게 하는지를 설명하는 책을 쓰고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우리가 맡은 자녀들과 교회의 청년들에게 더 많은 칭찬과 격려를 줄 수 있는 계절이면 좋겠습니다.

칭찬 뿐 아니라 우리는 서로를 이해함으로 우리 공동체를 단단하게 만들어가고 평화롭게 만들어 갑니다. 그런데 이해한다는 것은 내가 가진 지식과 넉넉함으로 다른 이들의 어떠함을 이해한다는 것이기에 그보다는 인정해 주는 것을 ‘배려’라고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인정과 이해야 서로가 같은 말의 다른 표현 같아서 구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해는 그 주체가 ‘나’이지만 인정은 그 사람의 있는 그대로를 인정해 주는 것이어서 그 주체가 ‘서로’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누군가를 이해 해 줄수는 있지만 그대로 인정하기가 쉽지 않은 모양입니다.

그 사람의 모습 그대로를 인정하고 그가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내가 생각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어도 그대로를 인정할 수 있다면 조금은 더 다른 이들을 사랑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아직 죄인이었을 때에 우리를 사랑하셨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지 못할 때에도 여전히 우리를 향하신 은혜를 멈추지 않으십니다. 물론 우리가 죄인인 그대로를 인정하셔서 그대로의 죄조차 사랑하시지 않으십니다. 그러나 죄인이어도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를 그리스도인 되게 하십니다.

우리가 서로를 인정해 줄 수 있다면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고 약한 부분을 내가 채워 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의견이 다르고 생각은 다를 수 있지만 우리가 진리 위에서 함께 서 있을 수 있다면 서로를 인정하고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진리위에 서는 것입니다. 

아무리 서로를 인정한다고해도 양보 할 수 없는 것이 바로 하나님의 말씀 위에 서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 역시 우리가 조심하고 은혜를 구해야 할 것입니다. 중세는 그것이 빌미가되어 오히려 진리를 떠나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우리 교회가 서로의 다름도 인정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언덕을 넘어

    사람들은 손을 들어 가리키지 높고 뾰족한 봉우리만을 골라서 내가 전에 올라가 보았던 작은 봉우리 얘기 해줄까 ? 봉우리! 지금은 그냥 아주 작은 동산일 뿐이지만 그래도 그때 난 그보다 더 큰 다른 산이 있다고는 생각지를 않았어 나한테는 그게 전부였거...
    Date2014.10.29
    Read More
  2. 사랑은 그만두지 않는다

    전신이 마비되는 병을 앓고 있는 아내를 병상에서 7년 넘게 간병하고 계신 김재식집사님의 책 <그러니 그대 쓰러지지 말아>안에 있는 글중에서 “나는 바람, 나는 깨어진 돌맹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새들은 노래하고 바람은 울고 간다. 새들은 머무른 흔적...
    Date2014.12.02
    Read More
  3. No Image

    거침없는 사랑 앞에서

    김용택시인은 그의 시 ‘그대, 거침없는 사랑’이란 시에서 이렇게 노래합니다. 아무도 막지 못할/ 새벽처럼/ 거침없이 달려오는/ 그대 앞에서 나는/ 꼼짝 못하는/ 한떨기 들꽃으로 피어납니다.... 중략.... 누구의 사랑인지 알지 못하지만 저는 하...
    Date2015.11.25
    Read More
  4. 꽃 때가 아니어도

    안디옥 어르신들을 모시고 봄 나들이를 다녀 왔습니다. 벌링턴에 있는 꽤나 큰 식물원인 Royal Botanical Gardens를 하루 다녀 욌습니다. 여러개의 가든들이 각기 테마를 가지고 꾸며져 있어서 꽤 볼거리들이 많은 곳인데 아직은 날이 이른 모양이었습니다. ...
    Date2016.05.24
    Read More
  5. I Love Brenden

    브랜든 포스터(1997년 10월 4일 - 2008년 11월 21일)는 워싱턴 주 보텔(Bothell)에서 태어나 자랐습니다. 그는 빨리 달리기와 높은 곳에 오르기를 좋아하는 평범한 소년이었습니다. 그는 커서 바다의 사진사가 되는 것이 꿈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는 8살이 되...
    Date2014.08.26
    Read More
  6. 사람을 빚으신 흙을 생각하다

    가끔 뜨거운 불에 손을 데일 때가 있습니다. 부주의한 덕분에 꽤 큰 고통을 맛보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피부는 참 약하고 예민해서 작은 바람도 느낄 수 있는가하면 가끔은 뜨거운 것을 먹거나 잡기도 하고 큰 힘에 눌려도 상처가 나지 않을만큼 강하기도 ...
    Date2020.11.17
    Read More
  7. 선하고 아름답게

    우리말 글쓰기를 잘하는 한 사람을 꼽으라면 저는 지금은 은퇴하시고 성공회대 석좌교수로계신 신영복선생님을 이야기합니다. 감옥에서의 깊은 사색의 시간이 선생님으로 하여금 정갈하게 글을 쓰는 힘을 길러 주었겠다고 생각합니다. 더욱 글쓰기 뿐만 아니...
    Date2014.05.27
    Read More
  8. 씨앗이 가진 생명력

    건강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이런 저런 음식들이 몸에 좋다는 말을 듣습니다. 그런데 그 음식들이 때로는 몸에 좋았다가 또 대로는 그렇지 않기를 반복해서 종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결국에는 맛있는 음식을 조절해서 균형있게 먹는 길을 택하게 됩...
    Date2018.02.14
    Read More
  9. No Image

    있는 그대로를

    요즘은 참 많은 색들이 우리 주변을 덮고 있습니다. 새로 올라오는 새싹들이 보여주는 생명의 색들이며, 조그마한 줄기에 붙은 알록달록한 예쁜 꽃들이 보여주는 아름다운 색들은 우리 마음을 즐겁게합니다. 나무는 나무대로 꽃은 꽃들대로 자기가 가진 아름...
    Date2014.05.20
    Read More
  10.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나님, 이것이 당신의 자비의 자녀들이란 말씀입니까? 이것이 당신이 창조하신 세상이란 말입니까? 오, 당신의 피조물들이 이렇게 고통을 당해야만 하니까? 우리는 분명 너무나 당신으로부터 멀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곧 끝장이 날 것입니다. 우리는 더 이상...
    Date2014.04.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