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8.05 12:57

Las Patronas

조회 수 1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294fead23061-AA59D4E0C.jpg





8월 1일자 영국 BBC 뉴스에서 소개가 된 단체 이야기가 있습니다. 맥시코 코르도바주의 작은 시골마을인 ‘라 파트로나’(La Patrona)에서 일어나는 이야기입니다.

요즘 미국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중 하나는 중남미에서 이주해오는 불법 이민자들 문제입니다. 최근에는 인도주의적인 정책을 겨냥해서 아이들 혼자 국경을 넘어 불법으로 미국 땅을 밟으려는 시도들이 많아지고 있다고합니다.

이들이 미국으로 넘어오기 위해서는 수많은 관문을 통과해야 하는데 그중에 ‘짐승’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열차를 타고 많게는 수천킬로미터를 여행하는 시간이 있습니다. 이들의 대부분인 중남미의 가난한 사람들이고 주변의 폭력조직을 피해 밀입국하려는 사람들이어서 미국국경지대까지 이동할 비용이 없습니다.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라 베스티아(짐승)’이라 불리는 화물열차에 무임으로 승차해 이동하는 것입니다. 물론 자석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저 화물칸에 몸을 싣거나 지붕에 타는 것입니다. 그들의 대부분은 그저 지붕이나 열차 사이에 매달려서 이 긴 여행을 감당합니다. 

문제는 그들이 이동하는 순간에도 끊임없이 위험에 노출된다는 것입니다. 열차에서 떨어지는 일뿐 아니라 폭력조직들의 공격이나 심지어 경찰들의 갈취의 표적이 되기도 합니다. 거기에 대부분이 가난한 사람들이어서 이 긴 여행동안 먹을 것과 마실물 조차 없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그들에게 멕시코 사막의 무더위와 긴 시간은 큰 위협입니다.

이들 사이에 소문이 퍼져 있습니다. 그것은 이 열차가 통과하는 작은 시골마을인 ‘라 파트로나’(La Patrona)에 가면 먹을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마을에는 그리 많지 않은 사람들이 살아갑니다. 그러나 하루에 두세번 지나가는 열차들을 향해서 지난 20년 동안이나 먹을 것과 마실 것등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시작은 로메로 바스케스 자매가 자신들이 먹을 것을 사가지고 집으로 가던 길에 지나가는 열차에서 들린 먹을 것을 달라는 외침 때문이었습니다. 자매는 자기들이 가진 것을 던져 주었고 이 일이 계기가 되어 그들의 어머니와 동네의 여자들이 마음을 모았습니다.

하루에 30명분의 물과 먹을 것을 준비하던 모임은 이제는 많은 이들의 후원과 헌신으로 수백명분의 먹을 것과 마실 물을 준비하여 지나가는 열차에 던져주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들을 그 마을 이름과 ‘수호성인’이라는 이름을 합쳐서 ‘라스 파트로나스’(Las Patronas)로 부릅니다.

최근에는 멕시코에서 주는 최고의 인권상을 받기도 하고 관심을 받게 되기도 했습니다만 그들은 여전히 오늘도 음식을 준비합니다.

유투브에는 이들의 이야기와 영상이 꽤 많이 올라와 있습니다. 스페인어로 설명이 있어 다 알아들을 순 없지만 적어도 그들이 참 순수하게 이 일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잠시 생각을 하게됩니다. 이들은 아마도 자신들이 믿는 믿음과 양심을 따라 자기들에게 호소한 이들의 호소를 외면하지 않은 것일겁니다. 그들의 말대로 처음에는 자신들이 먹을 것을 준 이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조차 몰랐으니까 말입니다.

그들은 그 외침에 응답하고 행동했습니다. 그들이 지난 20년간 한 행동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는 모릅니다. 그러나 그저 순수한 동기와 마음으로 응답한 그들의 행동은 지금 나에겐 무거운 음성으로 들립니다.

우리는 세상의 외침에 어떻게 응답하고 있습니까? 하나님의 말씀에는 어떻게 응답하여 행동하고 있습니까?

  1. 역전의 인생

    2011년 미국 오하이오 콜롬버스 지역 신문기자가 유튜브에 올린 영상 하나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늘 지역 도로 사거리에서 특이하게 쓴 손팻말을 들고 도움을 청하는 테드 윌리엄스라는 사람의 영상이었습니다. 그는 어린시절부터 아나운서의 꿈을 가지고 자...
    Date2020.10.06
    Read More
  2. 어버이주일을 지나며

    어버이주일을 준비하다가 글을 하나 읽었습니다. 오래전에 미국에서 방영한 ‘판사’(The Judge)라는 TV 프로그램을 보고 기고한 글입니다. 이 드라마는 로버트 프랭클린이라는 나이 지긋한 가정법원 판사가 주재했던 실제의 판례를 드라마화한 것...
    Date2019.05.15
    Read More
  3. No Image

    신앙은 감사와 나눔으로

    FaceBook에서 작년부터 화제가 된 이야기중에 “Jeremiah Steepek 목사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 이름보다는 “노숙자가 된 목사님”이란 제목으로 더 많이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내용은 꽤 큰 교회에 새로 부임해오기로 목사님이 그 첫주일에 오랜 노숙자의 모습...
    Date2014.10.17
    Read More
  4. 평안하세요?

    저는 인사를 건낼 때 자주 “평안”을 묻습니다. 특별히 말이 아닌 문자로 인사할 때면 항상 평안을 전하고 묻곤합니다. 따로 할 인사말이 생각나지 않기도 하거니와 평안이란 단어를 좋아해서이기도 합니다. 요즘 이 평안이란 말이 더욱 간절합니...
    Date2016.12.13
    Read More
  5. No Image

    길은 지나고 나서야 보인다

    어느새 2014년도 마지막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열심히 달려 오느라 언제 지난 12달이 지나갔는지 모르게습니다. 주변을 둘러볼 여력도 없이 앞만 바라 보고 달려 오기도 하고 또 살아 오기도 했습니다. 우리가 걸어온 길을 이제 한번 뒤 돌아 보았으면 좋겠...
    Date2014.12.23
    Read More
  6. Las Patronas

    8월 1일자 영국 BBC 뉴스에서 소개가 된 단체 이야기가 있습니다. 맥시코 코르도바주의 작은 시골마을인 ‘라 파트로나’(La Patrona)에서 일어나는 이야기입니다. 요즘 미국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중 하나는 중남미에서 이주해오는 불법 이민자들 문제입니다. ...
    Date2014.08.05
    Read More
  7. No Image

    말씀이 주는 힘

    홍성사에서 출판한 책 “예수를 업고가는 아프리카 당나귀”를 쓴 목사님이 있습니다. 그 스티븐 롱구라는 목사님의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폭력과 가출을 일삼는 아빠와 술로 살아가는 엄마 사이에서 자라던 그는 일곱살에 부모가 모두 그를 버리고...
    Date2015.12.04
    Read More
  8. 자녀를 위한 기도

    어린이주일입니다. 캐나다에서 어린이주일이 어디있느냐고 할 수도 있고 어떤 분의 말 처럼 일년이 다 어린이를 위한 날인데 굳이 어린이 날을 기념할 필요가 있느냐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하나님이 우리를 부모로 만드시고 세우셨기에 누군가의 아...
    Date2016.05.03
    Read More
  9. 가상칠언(架上七言)

    하나/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눅 23:34)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우리의 죄를대속하시기 위해 죽으시면서 가장 먼저 하나님 아버지에게 죄용서를 구하는 기도를 드리셨습니다. 눈 앞에서는 당신을 십자가에 못박고 조롱하는 무리들의 죄를 용서해 주시...
    Date2021.03.27
    Read More
  10. 함께 걷기

    맥캔지선교사가 살았던 황해도 소래의 집, 그는 이곳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일전에 아이들과 함께 노바스코샤를 방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묘하게 한국의 경치를 닮은듯한 지형들과 아름다운 페기스코브 등대와 루넨버그라는 예쁜 도시를 보았습니...
    Date2017.03.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