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손택수라는 시인이 쓴 “아버지의 등을 밀며”라는 시가 있습니다. 어린시절 제법 자랐음에도 아버지가 아니라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목욕탕에 갔던 기억과 그 아버지가 쓰러지시고 나서야 함께 병원 욕탕에 가서 아버지의 등을 밀어 드렸다는 이야기.
 
그리고 그제서야 아버지는 등에 난 짙은 지게자국을 아들에게 보이시기 싫어 그렇게 한번도 자기와 함께 목욕탕엘 가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시로 풀어 놓았습니다.
 
이런 저런 사연들이 있지만 아버지들은 그렇게 잘 설명하지 않고 자신의 마음을 숨겨 살아가는 모양입니다.
 
저 역시 아버지가 엄하신터라 어려서부터 엄하신 아버지의 훈계와 회초리(혹은 몽둥이)를 통해 배우고 자라왔습니다. 특히 목회자의 자녀이기에 더 많이 조심하기를 배웠고 잘 해주시지 않는 칭찬에는 갈증을 느끼며 자라 왔습니다.
 
단 한번 칭찬에 인색하신 아버님이 제가 군에 있을 때에 보내주신 처음이자 마지막 편지를 보면서 그 안에 조금 표현해 놓으신 깊은 사랑과 애정을 보곤 마음을 주체할 수 없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좀 자주 그렇게 마음을 보여 주셨으면 좋았을 것을 왜 그토록 마음을 숨기시며 사셨는지 모릅니다.
 
지금도 여전하셔서 먼 거리 안부를 묻는 전화에도 그저 괜찮다만 말씀하시곤 곧 전화를 끊으시거나 어머니에게 전화를 넘기십니다. 이제는 그 마음을 조금 안다고 생각해도 가끔은 조근 조근 말씀을 드리고 음성을 듣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아들도 이제 목회의 길을 가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기도하마 하실뿐 별 말씀을 하지 않으십니다. 그저 그 가셨던 길을 기억하고 하셨던 말씀들을 떠올리며 따라가려고 애쓰는 것이 아버님이 하시고자 한 말씀에 순종하는 길이라 생각하곤 합니다.
 
그런데 아버지만 그런것이 아니라 나 역시 그런 아버지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아버지와 달리 두 딸을 하나님이 주셔서 훨씬 살가운 아버지가 될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아보면 어쩌면 그리 무정해 보이는 아버지의 뒤를 따라 왔는지 모릅니다.
 
변명할 거리도 있고 할 말도 없지 않지만 그래도 결국 사랑한다 잘 표현하지 않고 마음을 다 드러내지 않고 사는데 익숙한 것이 제 모습입니다. 
 
아이들도 아내도 그런 제 모습을 알지만 그래도 가끔은 불평을 늘어 놓습니다. 표현하지 않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고 늘 이야기하는 소리가 귓가에 노래로 울립니다.
 
다 늦어서 아이들이 엄마가 되고서야 마음을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노라고 하기전에 작은 고백이나 사랑을 전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뭐 그리 어려운 일이겠습니까만은 전하는 사람이나 듣는 이에게는 참 먼 거리를 돌아 만나는 것이기도 합니다.
 
아들이 아버지가 되고서야 그 마음을 알게 되듯이 사람은 서로의 마음을 다 알지 못하고 살아갑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어떤 아버지도 아들을 사랑하지 않는 아비가 없고 더욱이 어던 어머니도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어머니가 없다는 사실입니다. 
 
부모가 가진 마음도 쉬 알지 못하는 우리들이기에 만나는 서로의 마음을 너무 쉽게 판단하지 않기를 다집합니다. 그리고 그 마음에는 깊은 사랑과 넉넉한 마음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겁니다.
 
당장 내 눈에 보이는 것이 그렇지 않더라도 그 사람을 믿고 그 마음을 믿으며 서로를 바라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1. 땅에 떨어진 과실

    사람들이 과실수를 심는 것은 그 나무로부터 열매를 얻기 위해서입니다. 일년동안 수고하고 힘을 써서 나무를 보살피고 열매가 잘 맺고 자라게 하기위해 관심을 갖습니다. 집 뒤편에 사과나무를 보면 좋은 열매를 얻기위해서는 꽤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Date2018.08.07
    Read More
  2. 키워드로 읽는 성경/사사기 "누가 나의 왕인가?"

    반복되는 실패와 특별한 구원 이야기 8:22 그 때에 이스라엘 사람들이 기드온에게 이르되 당신이 우리를 미디안의 손에서 구원하셨으니 당신과 당신의 아들과 당신의 손자가 우리를 다스리소서 하는지라 8:23 기드온이 그들에게 이르되 내가 너희를 다스리지 ...
    Date2020.05.21
    Read More
  3. 예수님의 침묵

    말씀묵상/예수님의 침묵 15:1 새벽에 대제사장들이 즉시 장로들과 서기관들 곧 온 공회와 더불어 의논하고 예수를 결박하여 끌고 가서 빌라도에게 넘겨 주니 15:2 빌라도가 묻되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네 말이 옳도다 하시매 15:3...
    Date2020.04.09
    Read More
  4. No Image

    아들과 아버지의 사이에서

    손택수라는 시인이 쓴 “아버지의 등을 밀며”라는 시가 있습니다. 어린시절 제법 자랐음에도 아버지가 아니라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목욕탕에 갔던 기억과 그 아버지가 쓰러지시고 나서야 함께 병원 욕탕에 가서 아버지의 등을 밀어 드렸다는 이야...
    Date2015.03.28
    Read More
  5. 서로의 대나무 숲이 되어서

    요즘 한국의 대학들이나 커뮤니티들에 대나무숲이란 것이 유행하듯 번지고 있습니다.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인터넷 게시판들이 이곳 저곳에서 많은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습니다. 대나무숲의 역사적 기원은 <삼국유사>에도 등장합니다. 신라 제48대 경문왕 ...
    Date2017.08.15
    Read More
  6. 그래도 감사할 수 있을까?

    “감사란, 견딜 수 없는 슬픔 가운데 있을 때도 사랑의 하나님이 우리를 안전하게 지키는 분이시며 우리가 예배하는 하나님이 신뢰할 만한 분이심을 아는 것이다.” 크리스틴 폴의 <공동체로 산다는 것>중에서. 추수감사절을 맞이합니다. 캐나다에...
    Date2018.10.09
    Read More
  7. 아버지로 살다

    ‘나는 어떤 종류의 울타리로 살아갈 수 있을까? 가시가 뾰족한 탕자나무보다는 넉넉한 측백이나 사걱대는 잎사귀 소리로 더위를 식혀주는 대나무이고 싶다. 자식들에게도, 내 주변에 바람막이가 필요한 그 누구에게도.’ -박상현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일...
    Date2014.06.18
    Read More
  8. 거울속에 비친 나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거울은 아주 단순하면서도 놀라운 발명품입니다. 그 자체가 가치로운 것이거나 아주 중요한 일을 하고 있는것 같지는 않지만 거울이 우리에게 비치는 영향은 놀랄만큼 많습니다. 적어도 거울이 선명하게 우리를 비추어 줄 수 있게 ...
    Date2018.05.23
    Read More
  9. No Image

    겉 멋이 들더라도

    겉멋이란 말은 아무리 들어도 그리 좋은 말로 들리지 않습니다. 멋이란 말이 주는 약간은 왜곡된 느낌에다가 겉으로 드러나는 멋으로 한계를 그어버리고 나니 더 나쁘게 들리는 것 같습니다. 사람이란 멋이 있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추하고 볼품없이 ...
    Date2015.02.11
    Read More
  10. No Image

    사랑하는 시간

    잘 아는 어떤 분이 새해를 맞이하면서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소망을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또 이야기하더군요. 그렇습니다.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면서 가장 어려운 일을 꼽으라면 사람...
    Date2015.01.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