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11 11:40

마흔 번째 봄

조회 수 1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lower-1163652_960_720.jpg

 

 


함민복시인의 시중에 “마흔 번째 봄”이란 시가 있습니다.

 

꽃 피기 전 봄 산처럼
꽃 핀 봄 산처럼
꽃 지는 봄 산처럼
꽃 진 봄 산처럼
 
나도 누군가의 가슴
한번 울렁여보았으면

 

마흔 번째 생일을 맞아 쓴 시 같아 보입니다. 이 땅에서 살아가면서 소박한 소망이 있다면 누군가의 가슴에 울림을 주는 것이라는 그의 말이 마음에 남습니다.

 

다른 이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소개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며 살아가는 삶이지만 그 시간들 속에서 누군가의 가슴을 울릴만한 삶이 있었는지 자문해봅니다. 내가 잘 나서가 아니라 내가 무슨 큰 의미를 던지기 때문이 아니라 그저 나의 작은 말과 행동이라도 누군가에게 작은 위로가 되고 격려가 되고 도전이 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나의 인생에 큰 도전을 주신 아니 나이 인생의 전부를 걸게 하신 예수님의 사랑의 이야기를 그 강렬한 그대로 전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분명 말로 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겁니다. 그래도 부족한 입술로라도 전하고 싶습니다. 그렇게 누군가에게 또 예수님이 구주가되고 그 구원의 은혜가 삶의 이유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교회가 마흔 번째 봄을 맞이합니다. 40주년을 맞이하면서 지난 시간들을 살펴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빛바랜 사진들을 보기도 하고 그때의 이야기들을 듣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 시간들 속에서도 여전히 사랑으로 참으심으로 교회를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발견합니다.

 

지난 마흔 번의 봄을 맞이하는 시간 속에 우리교회가 많은 이들에게 구원을 전하고 믿음을 나누며 사랑을 함께 했음을 믿습니다. 그리고 이제 새로운 봄을 맞으면서 다시 소망합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그 사랑을 나눌 수 있는 교회이게 해 주시기를 말입니다.

 

교회는 건물이 아닙니다. 그 안에 속한 구원받은 그리스도인들의 모임입니다. 우리가 아직은 부족하고 연약할지라도 하나님은 그런 우리를 부르시고 모으셔서 하나님의 교회라고 불러주십니다. 서로의 약점을 덮어주고 작은 힘들을 모아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라고 말입니다.

 

어떤분들은 40번째의 봄을 또 어떤 분들은 첫 봄을 맞을지도 모릅니다. 각기 지나온 시간의 기억들이 다르고 교회에서의 경험들이 다를겁니다. 그래도 지금 우리는 함께 하나님이 교회입니다.

 

이 땅에 사는 동안 매번 새로이 맞을 봄을 꿈꾸는 소망을 맞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조금은 기가 죽어 있기도하고 이 땅이 아직 낫설기도 하지만 그래도 함께 교회로 서기에 소망이 있기를 바랍니다. 서로에게 격려와 위로를 건내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참 약한 존재들입니다. 내가 하고 싶은 것 이전에 서로를 바라보면서 이 길을 가기를 바랍니다.

 

내가 좋아하고 바라는 것 이전에 하나님이 부르신 부르심과 그분의 영광을 사모하며 한께 세워져 가기를 원합니다. 조금은 멀고 어려운 이야기 같아 보일지 몰라도 우리는 그렇게 살 때 가장 큰 은혜를 경험할 것입니다.

 

봄에 들에 핀 작은 꽃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하나로 얼마나 아름다운지요. 우리를 그렇게 아름답게 지으신 하나님을 기억하면서 그분과 함께 아름다운 봄을 만들어 보기를 원합니다.

 


  1. 잔치국수

    국수에 잔치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는 것은 요즘은 조금 생격한 일입니다. 요즘 잔치에서 국수를 먹는 일이 드물고 국수와 잔치가 그리 잘 연결되지 않기 때문일것입니다. 그래서 요즘 한국에서는 장터국수라는 이름으로도 잘 불리우고 팔리고 있는 모양입니...
    Date2018.08.14
    Read More
  2. 하나님이 만드신 신비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실 때에 얼마나 신비롭게 만드셨는지 모릅니다. 그동안 수많은 학자들과 연구자들이 연구하고 밝혀 낸 것만으로도 놀라운 것 투성이이지만 아직도 인체의 신비는 다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신비숭에 ‘면역’이...
    Date2016.11.23
    Read More
  3. 감각은 느리고 시간은 빠르고

    2005년 여름이 시작될 무렵 처음 아이들과 아무런 정보도 없이 캐나다 런던 땅을 밟았습니다. 윤호윤 장로님이 디트로이트에서 픽업해 주셔서 호텔에서 하룻밤을 묵고 교회 선교관으로 온것이 런던제일장로교회를 처음 만난 시간이었습니다. 첫날 저녁 늦게 ...
    Date2022.02.15
    Read More
  4. 하나님이 주신 자유함

    “이상한나라의 앨리스”로 알려진 루이스 캐롤의 책에 이런 구절이 나옵니다. 두개로 나누어진 길에 도착한 앨리스가 어느길로 가야할지 고민하며 나무 위의 고양이와 대화를 나눕니다. “어느 길로 가야하지?” 앨리스가 고양이에게 물...
    Date2018.08.29
    Read More
  5. 마흔 번째 봄

    함민복시인의 시중에 “마흔 번째 봄”이란 시가 있습니다. 꽃 피기 전 봄 산처럼 꽃 핀 봄 산처럼 꽃 지는 봄 산처럼 꽃 진 봄 산처럼 나도 누군가의 가슴 한번 울렁여보았으면 마흔 번째 생일을 맞아 쓴 시 같아 보입니다. 이 땅에서 살아가면서 ...
    Date2016.03.11
    Read More
  6. 조금 불편해도

    어떤 교회 집사님이 이런 고백을 하셨습니다. 자기는 마음이 불편하지만 않다면 얼마든지 사랑하고 봉사하는 일에 적극적이었다고 말입니다. 그러나 누군가 자신과 생각이 다르고 행동방식이 다른 사람들이 교회 공동체에 들어와서 함께 무엇을 하게 될 때는 ...
    Date2014.11.07
    Read More
  7. 짐을 지는 인생

    니체는 자신의 책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여러 동물들을 등장시킵니다. 그중에 낙타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낙타는 묵묵히 사람 대신에 짐을지고 사막을 건너는 동물입니다. 그렇기에 책임감이 강하고 순종적입니다. 결코 짐을 지는 것을 거...
    Date2020.07.07
    Read More
  8. 위기는 선과 악을 선택하게 한다.

    하나 성선설과 성악설은 오랜동안 논쟁거리였습니다. 이에 더해 인간이 교육을 통해 선해질 수 있는가도 논쟁이 되었습니다. 원래 선한 본성을 가진 인간의 선함이 교육을 통해 커지거나 악한 본성을 누르고 선하게 만들어 갈 수 있다는 믿음이 교육을 가치 ...
    Date2021.03.10
    Read More
  9. No Image

    맛있는 음식

    한주에 한번씩 누군가에게 읽힐 글을 쓴다는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일입니다. 늘 그렇게 쓸 것들이 많지 않기도 하고 그렇게 쓴 글에 내 삶이 담겨 있기 보다는 말만 넘치도록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얼굴이 화끈거릴 정도입니다. 오늘도 이렇게 글을 쓰면서 어...
    Date2014.12.10
    Read More
  10. 봄은 힘이 많다

    겨울이 깊습니다. 지난주는 눈도 많았고 춥기도 많이 추웠습니다. 그래도 어느새 2월이 되었고 입춘도 지나갑니다. 꽤 여러번의 겨울을 지나가지만 점점 더 겨울은 춥고 외로운 계절이란 생각이 듭니다. 청년 때에는 겨울에 혼자 산에 올라가고 추운 바닷가에...
    Date2022.02.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