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13 12:54

내가 태어난 이유

조회 수 1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mall.jpg

 


2017년 첫 주가 지나갔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시간이지만 각각 그 의미를 가지고 지나갑니다. 그중에서도 새해 첫날은 여러면에서 우리에게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님이 해와 달과 절기를 지으시고 반복되게 하신 것은 그 시간을 통해서 우리가 스스로를 돌아보고 또 새롭게 다짐해서 이 땅의 삶을 살아가라는 의미였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매년 새해 첫주가 되면 한 해를 위해서 기도하면서 다짐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삶속에서 여러가지 의미있는 시간들이 있습니다. 그것들을 기념일이란 이름으로 기억하기도 하고 또 특별하게 지정해서 의미를 되새기기도 합니다. 문화속에서 절기가 있고 축일들이 있습니다. 그 삶의 자리에서 기억해야할 날이나 시기가 있고 그 때를 따라 변화해야 할 삶의 모습이 있기 때문입니다.

 

봄이되고 흙이 부드러워지면 파종할 때가 된줄 알지만 그 시기를 절기를 통해 가늠 할 수 있게 되면 더 수월하게 준비 할 수 있게 됩니다. 사람이 태어나서 몇해가 지나면 이제는 학교에서 무엇인가를 배우고 함께 생활할 수 있게 될 것이라 짐작하는 것 역시 생일을 알고 해가 지나가는 것을 알기에 할 수 있는 일일 것입니다. 그렇게 나이가 들어가면서 내가 할 일들을 더 생각 할 수도 있게됩니다.

 

개인에게도 기념일을 안다는 것은 꽤 유용합니다. 자기가 살아 온 시간의 길이를 알고 특별히 기념할 날들을 기억한다는 것은 그 날을 통해 나를 점검하고 그 첫 마음을 되새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생일을 기억하고 축복하며 지나가는지도 모릅니다.


성경은 자주 우리가 태어난 날을 기억하라고 말합니다. 특별히 구약의 선지자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해서 너희가 난 날을 기억하라고 외칩니다. 

 

이스라엘이 태어난 날은 그들의 조상이 애굽에서 종살이 하다가 하나님의 은혜로 출애굽하여 가나안 땅으로 들어 오던 때를 의미 할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 때를 기념하여 ‘유월절’로 지키라고 명령하셨고 ‘초막절’과 ‘칠칠절’을 기억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들이 그 날을 기억해야 할 것은 그 날에 이스라엘에게 구원을 베푸신 하나님을 기억하라는 것이고 그 은혜를 기억하라는 것입니다. 그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할 때에 이스라엘은 지금 현재도 우리의 하나님이 되시고 주권자가 되시는 하나님을 기억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이 절기를 기억하고 예배할 때에는 그들의 하나님을 기억하고 그 말씀에 순종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절기를 잃어 버리고 예배를 잃어버렸을 때에 하나님을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지금 우링게게도 기억할 날이 있습니다. 우리가 태어난 날입니다. 육신으로 이 땅에 태어난 그 날을 생일로 기억합니다. 우리가 서로의 생일을 축하 할 이유가 분명합니다. 

 

그러나 육신의 생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삶의 의미를 깨닫고 새롭게 태어난 날일것입니다. 미국의 소설가이며 해학가인 마크 트웨인(Mark Twain)이 이 사실을 다음과 같이 멋지게 표현했습니다. 

 

“여러분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두 날이 있습니다. 한날은 여러분이 태어난 날이고, 다른 한날은 왜 태어났는지를 알게 된 날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새롭게 태어난 바로 그 날을 기억하며 매일을 그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는 2017년이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427 내가 사랑하는 성경구절 file 2023.06.06
426 내가 사랑하는 찬송가 file 2020.06.30
425 내가 살고 있는 감정은 무엇인가? file 2018.11.27
424 내가 살아가는 시간들 file 2022.12.06
423 내가 선 자리에서 file 2016.06.02
» 내가 태어난 이유 file 2017.01.13
421 내일을 기대하며 file 2013.12.31
420 너는 내 아들이라/시편 2편 묵상 file 2020.05.02
419 네 마리의 황소 (2009년7월24일) 2011.06.30
418 농사와 전쟁  file 2023.08.06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