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13 12:54

내가 태어난 이유

조회 수 1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mall.jpg

 


2017년 첫 주가 지나갔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시간이지만 각각 그 의미를 가지고 지나갑니다. 그중에서도 새해 첫날은 여러면에서 우리에게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님이 해와 달과 절기를 지으시고 반복되게 하신 것은 그 시간을 통해서 우리가 스스로를 돌아보고 또 새롭게 다짐해서 이 땅의 삶을 살아가라는 의미였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매년 새해 첫주가 되면 한 해를 위해서 기도하면서 다짐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삶속에서 여러가지 의미있는 시간들이 있습니다. 그것들을 기념일이란 이름으로 기억하기도 하고 또 특별하게 지정해서 의미를 되새기기도 합니다. 문화속에서 절기가 있고 축일들이 있습니다. 그 삶의 자리에서 기억해야할 날이나 시기가 있고 그 때를 따라 변화해야 할 삶의 모습이 있기 때문입니다.

 

봄이되고 흙이 부드러워지면 파종할 때가 된줄 알지만 그 시기를 절기를 통해 가늠 할 수 있게 되면 더 수월하게 준비 할 수 있게 됩니다. 사람이 태어나서 몇해가 지나면 이제는 학교에서 무엇인가를 배우고 함께 생활할 수 있게 될 것이라 짐작하는 것 역시 생일을 알고 해가 지나가는 것을 알기에 할 수 있는 일일 것입니다. 그렇게 나이가 들어가면서 내가 할 일들을 더 생각 할 수도 있게됩니다.

 

개인에게도 기념일을 안다는 것은 꽤 유용합니다. 자기가 살아 온 시간의 길이를 알고 특별히 기념할 날들을 기억한다는 것은 그 날을 통해 나를 점검하고 그 첫 마음을 되새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생일을 기억하고 축복하며 지나가는지도 모릅니다.


성경은 자주 우리가 태어난 날을 기억하라고 말합니다. 특별히 구약의 선지자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해서 너희가 난 날을 기억하라고 외칩니다. 

 

이스라엘이 태어난 날은 그들의 조상이 애굽에서 종살이 하다가 하나님의 은혜로 출애굽하여 가나안 땅으로 들어 오던 때를 의미 할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 때를 기념하여 ‘유월절’로 지키라고 명령하셨고 ‘초막절’과 ‘칠칠절’을 기억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들이 그 날을 기억해야 할 것은 그 날에 이스라엘에게 구원을 베푸신 하나님을 기억하라는 것이고 그 은혜를 기억하라는 것입니다. 그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할 때에 이스라엘은 지금 현재도 우리의 하나님이 되시고 주권자가 되시는 하나님을 기억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이 절기를 기억하고 예배할 때에는 그들의 하나님을 기억하고 그 말씀에 순종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절기를 잃어 버리고 예배를 잃어버렸을 때에 하나님을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지금 우링게게도 기억할 날이 있습니다. 우리가 태어난 날입니다. 육신으로 이 땅에 태어난 그 날을 생일로 기억합니다. 우리가 서로의 생일을 축하 할 이유가 분명합니다. 

 

그러나 육신의 생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삶의 의미를 깨닫고 새롭게 태어난 날일것입니다. 미국의 소설가이며 해학가인 마크 트웨인(Mark Twain)이 이 사실을 다음과 같이 멋지게 표현했습니다. 

 

“여러분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두 날이 있습니다. 한날은 여러분이 태어난 날이고, 다른 한날은 왜 태어났는지를 알게 된 날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새롭게 태어난 바로 그 날을 기억하며 매일을 그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는 2017년이길 바랍니다.

 


  1. Truthiness

    미국의 주요 사전 출판사인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는 매년 ‘올해의 단어’를 온라인 투표로 선정해 오고 있습니다. 매년 그 해에 가장 많이 검색하고 이슈가 된 단어를 선정하는데 2006년의 단어로는 사전에 아직 등재되지 않은 신조어인 ‘Truthiness’...
    Date2014.11.28
    Read More
  2. No Image

    같은 자리에서 끝맺기를

    2014년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은 에볼라와 싸우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에볼라 환자들을 치료하던 도중 미국인 첫 에볼라 감염자가 된 의료선교사 켄트 브랜틀리, 간병활동을 하다 에볼라에 감염된 선교사 낸시 라이트볼등과 같은 사람들이었습니다. 특별...
    Date2015.07.21
    Read More
  3. “어둠 속에서 찾은 위로”

    매주마다 주보에 글을 쓰면서 거의 매번 한숨을 쉽니다. 어쩌자고 어리석은 일을 시작해서 아직도 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후회와 함께 말입니다. 글을 잘 쓰는 것도 아니요 그렇다고 꼭 글을 통해 해야 할 말이 있는 것도 아닌데도 이렇게 매주마다 무엇인...
    Date2019.07.09
    Read More
  4. No Image

    위기 의식

    요즘 세상은 수없이 많은 신음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물론 요즘 뿐만 아니라 늘 그래왔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인지 이제는 들리는 수많은 소식들에도 별 위기감을 느끼지 않고 삽니다. 문득 이렇게 사는 것이 잘 살고 있는 것인지를 되돌아 보게 됩니다. 뉴...
    Date2014.08.26
    Read More
  5. 내가 태어난 이유

    2017년 첫 주가 지나갔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시간이지만 각각 그 의미를 가지고 지나갑니다. 그중에서도 새해 첫날은 여러면에서 우리에게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님이 해와 달과 절기를 지으시고 반복되게 하신 것은 그 시간을 통해서 우리가 스스로를 돌아...
    Date2017.01.13
    Read More
  6. 사진속 시선에는

    어린시절 우연히 최민식씨의 사진을 보았습니다. 어렵고 힘들던 시기에 여전히 열심히 살아가던 한국 사람들의 삶을 인상깊게 남겼던 최민식씨의 사진은 흑백의 명료함과 인화된 흑백이 짙은 거친 질감속에서 끈질기고 열정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Date2019.08.27
    Read More
  7. 서로를 존중하며

    한 잎, 너의 이유가 무엇이든 존중한다. 그 아슬아슬한 허기까지 김주대 시인은 낙옆이란 시에서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아주 짧은 시이지만 그 안에서 마지막 나무에 아슬아슬하게 매어 달린 낙옆을 햔한 시인의 마음을 봅니다. 단풍이 아름다운 길을 가다보...
    Date2016.10.27
    Read More
  8. No Image

    봄은 계속된다

    녹슬은 심장도 피가 용솟음치는 것을 느끼게 된다. 물건을 못사는 사람에게도 찬란한 쇼윈도는 기쁨을 주나니, 나는 비록 청춘을 잃어버렸다 하여도 비잔틴 왕궁에 유폐되어 있는 금으로 만든 새를 부러워하지는 않는다. 아아, 봄이 오고 있다. 순간마다 가까...
    Date2015.03.11
    Read More
  9. 만들어진 진실?

    좀 생소하지만 위키알리티(Wikiality)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위키피디아에서 그 아이디어를 가져온 말입니다. 위키피디아는 인터넷에서 이루지는 백과사전 같은 사이트를 말합니다. 누구나 참여하여 개념을 만들어가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사이트입니다....
    Date2015.04.28
    Read More
  10. 황하도 맑아지는데

    신문에 중국의 황하가 맑아지고 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중국의 큰 강인 황하는 늘 물이 황토빛으로 가득해서 결코 맑아 지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덕분에 이름도 황하이고 그 물이 흘러드는 바다를 황해(서해)라고 부릅니다. “백년하청”라고 해...
    Date2017.11.0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