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14 13:42

함께 걷기

조회 수 1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d98feee302b5032c3f81e7a6d3e2b182.jpg

맥캔지선교사가 살았던 황해도 소래의 집, 그는 이곳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일전에 아이들과 함께 노바스코샤를 방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묘하게 한국의 경치를 닮은듯한 지형들과 아름다운 페기스코브 등대와 루넨버그라는 예쁜 도시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한곳을 더 보고자했는데 결국 다 둘러보지는 못했습니다.

 

윌리엄 존 맥켄지 선교사의 고향교회와 그가 다닌 신학교가 바로 노바스코샤 헬리팩스에 있습니다. 그곳을 다 보지 못했지만 핼리팩스에 있는 가장 오래된 장로교회에서 예배를 드리고 그곳 청년들과 몇일 수련회를 인도하고 왔습니다.

 

언제고 다시 가게된다면 이번에는 꼭 멕켄지 선교사의 흔적을 찾아보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멕켄지선교사는 캐나다 출신 선교사로 초창기 한국선교에 큰 역할을 한분입니다. 그로 인해서 캐나다가 한국에 대한 선교를 활발하게 시작하게 되기도 했습니다.

 

그의 고향은 노바스코샤의 캐이프 브레튼입니다. 마치 한국의 지형을 닮은 그곳에서 자라고 의학과 신학을 전공했습니다. 그가 다닌 파인힐 장로교 신학교는 아직도 헬리팩스에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당시 소개된 조선이란 나라로 선교를 떠납니다. 교단의 반대와 어려움 속에도 그는 개인의 자격으로 조선이라는 나라를 향해 떠났고 황해도 소래지역에 정착해서 선교활동을 시작합니다.

 

그는 조선에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다른 선교사들과는 조금 다른 길을 걷습니다. 그 땅의 사람들과 함께 살며 그들과 함께 걷고자 했습니다. 그들의 삶의 방식을 따라 살며 그들속에 조선인으로 살아가고자 했습니다.


소래마을에 초가집을 짓고 한복을 입었습니다. 그곳에서 감자를 심어 먹으면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또 의료사역을 하였습니다. 그들에게 그는 같은 길을 걸어가는 사람으로 서 있기를 원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의 선교사역은 3년을 채 넘기지 못했습니다. 약해진 몸으로 열심히 전도하다 걸린 병으로 인해 그는 아직 완공되지 못한 소래교회 부속실에서 하나님의 부름을 받습니다. 바로 그 교회가 한국 최초의 개신교회인 소래교회입니다.

 

그는 마지막 일기에 이렇게 썼습니다.

 

“…(전략) 잠을 잘 수도 없고 밖으로 나갈 수도 없다. 너무 약해졌기 때문이다. 오늘 오후에는 전신이 추워지는 것을 느꼈다. 옷과 더운 물주머니가 있어야겠다. 땀을 내야겠다. 조금은 나은 듯하기도 하다. 죽음이 아니기를 바란다. 
내가 한국인들과 같은 방식으로 살았기때문에 이렇게 되었다고 말하게 될 많은 사람들을 위해서이다. 내가 조심하지 아니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낮에는 뜨거운 햇볕 아래서 전도하고 밤이면 공기가 추워질 때까지 앉아 있었기 때문인 것이다.
…(중략)… 
몸이 심히 고통스러워 글을 쓰기가 너무 힘이 든다.”

 

그이 죽음은 오히려 캐나다와 파인힐 신학교에 조선선교에 대한 불을 일으키게 되었습니다. 그의 후배와 고향친구, 약혼녀와 그 자매까지 그의 뒤를 이어 조선을 향한 선교의 길에 오르게 됩니다.

 

그는 적어도 그 땅의 사람들과 함께 살고 함께 걷기를 원했습니다. 내가 가진 것을 나누어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들과 함께 살며 사랑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는 친구가 되었고 친구로 이 땅을 사랑했으며 또 그렇게 친구로 그 땅에 묻혔습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우리도 누군가에게 친구가 되어 가는 삶이기를 원합니다.


  1. 역전의 인생

    2011년 미국 오하이오 콜롬버스 지역 신문기자가 유튜브에 올린 영상 하나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늘 지역 도로 사거리에서 특이하게 쓴 손팻말을 들고 도움을 청하는 테드 윌리엄스라는 사람의 영상이었습니다. 그는 어린시절부터 아나운서의 꿈을 가지고 자...
    Date2020.10.06
    Read More
  2. 어버이주일을 지나며

    어버이주일을 준비하다가 글을 하나 읽었습니다. 오래전에 미국에서 방영한 ‘판사’(The Judge)라는 TV 프로그램을 보고 기고한 글입니다. 이 드라마는 로버트 프랭클린이라는 나이 지긋한 가정법원 판사가 주재했던 실제의 판례를 드라마화한 것...
    Date2019.05.15
    Read More
  3. No Image

    신앙은 감사와 나눔으로

    FaceBook에서 작년부터 화제가 된 이야기중에 “Jeremiah Steepek 목사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 이름보다는 “노숙자가 된 목사님”이란 제목으로 더 많이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내용은 꽤 큰 교회에 새로 부임해오기로 목사님이 그 첫주일에 오랜 노숙자의 모습...
    Date2014.10.17
    Read More
  4. 평안하세요?

    저는 인사를 건낼 때 자주 “평안”을 묻습니다. 특별히 말이 아닌 문자로 인사할 때면 항상 평안을 전하고 묻곤합니다. 따로 할 인사말이 생각나지 않기도 하거니와 평안이란 단어를 좋아해서이기도 합니다. 요즘 이 평안이란 말이 더욱 간절합니...
    Date2016.12.13
    Read More
  5. No Image

    길은 지나고 나서야 보인다

    어느새 2014년도 마지막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열심히 달려 오느라 언제 지난 12달이 지나갔는지 모르게습니다. 주변을 둘러볼 여력도 없이 앞만 바라 보고 달려 오기도 하고 또 살아 오기도 했습니다. 우리가 걸어온 길을 이제 한번 뒤 돌아 보았으면 좋겠...
    Date2014.12.23
    Read More
  6. Las Patronas

    8월 1일자 영국 BBC 뉴스에서 소개가 된 단체 이야기가 있습니다. 맥시코 코르도바주의 작은 시골마을인 ‘라 파트로나’(La Patrona)에서 일어나는 이야기입니다. 요즘 미국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중 하나는 중남미에서 이주해오는 불법 이민자들 문제입니다. ...
    Date2014.08.05
    Read More
  7. No Image

    말씀이 주는 힘

    홍성사에서 출판한 책 “예수를 업고가는 아프리카 당나귀”를 쓴 목사님이 있습니다. 그 스티븐 롱구라는 목사님의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폭력과 가출을 일삼는 아빠와 술로 살아가는 엄마 사이에서 자라던 그는 일곱살에 부모가 모두 그를 버리고...
    Date2015.12.04
    Read More
  8. 자녀를 위한 기도

    어린이주일입니다. 캐나다에서 어린이주일이 어디있느냐고 할 수도 있고 어떤 분의 말 처럼 일년이 다 어린이를 위한 날인데 굳이 어린이 날을 기념할 필요가 있느냐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하나님이 우리를 부모로 만드시고 세우셨기에 누군가의 아...
    Date2016.05.03
    Read More
  9. 가상칠언(架上七言)

    하나/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눅 23:34)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우리의 죄를대속하시기 위해 죽으시면서 가장 먼저 하나님 아버지에게 죄용서를 구하는 기도를 드리셨습니다. 눈 앞에서는 당신을 십자가에 못박고 조롱하는 무리들의 죄를 용서해 주시...
    Date2021.03.27
    Read More
  10. 함께 걷기

    맥캔지선교사가 살았던 황해도 소래의 집, 그는 이곳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습니다. 일전에 아이들과 함께 노바스코샤를 방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묘하게 한국의 경치를 닮은듯한 지형들과 아름다운 페기스코브 등대와 루넨버그라는 예쁜 도시를 보았습니...
    Date2017.03.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