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book-1209805_960_720.jpg

 

 

어릴 때 운동회를 하면 늘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란 슬로건이 생각이 납니다. 그것 때문인지 몰라도 이후로 육체가 건강해야만 정신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 이 말은 고대 로마의 시인이었던 유베나리스가 쓴 시에서 유래합니다. 그가 쓴 시중에 “mens sana in corpore sano”라는 구절을 직역하면 바로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이 유럽에서 mens(mind; 정신, 마음)라는 단어 대신에 anima(soul; 영혼)라는 말을 써서 “anima sana in corpore sano”라고도 표기했는데 여기서 문장에서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ASICS라는 스포츠 브랜드가 만들어졌다고 전해집니다.

 

어쨌거나 그는 이 시에서 단정적으로 육체가 건강하면 정신도 건강해 진다고 말하고 있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렇게 되기를 소망하는 기원으로 쓰고 있습니다. 아마도 그도 육체의 건강이 곧 정신의 건강으로 직결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듯합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은 요즘이나 과거 어느 시대이거나 크게 다르지는 않은 모양입니다. 심지어 최근에는 건강이라는 것이 하나의 사업이되고 최고의 관심분야가 되어 가는 것을 봅니다. 몸에 좋다는 것에는 어떻게든 관심이 가고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음식이나 운동에 많은 돈과 시간을 소비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우리 주변에서 보이는 건강에 대한 과도한 관심은 오히려 우리의 정신에 해를 끼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너무 좋은 음식을 찾아 먹다가 오히려 몸에 균형이 깨지기도 하고 자연의 질서가 무너지기도 합니다. 지나치게 운동을 하다가 오히려 병을 얻게 되거나 운동이 우리의 삶의 균형을 잃어 버리게 하는 경우도 발견하게 됩니다.

 

그래도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건강에 신경을 쓰는 것은 건강한 육체를 가지고 있을 때에 내 삶을 조금 더 건강하게 살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말은 분명한 사실이기도 합니다.

 

인간의 몸은 육신과 영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앞선 글에서 말한 것처럼 신체와 정신으로 혹은 마음으로 이야기해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 둘은 결코 분리되지 않습니다. 영혼 없는 육신이 죽은 것이고 마찬 가지로 육신이 없는 영혼은 사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우리의 육신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보다 우리의 영혼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우리의 마음이 하나님을 기억하고 그 안에서 평안하기를 말합니다. 바로 그 때에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로 이 땅의 삶을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성경은 이야기 합니다.

 

“육체의 연단은 약간의 유익이 있으나 경건은 범사에 유익하니 금생과 내생에 약속이 있느니라.”(딤전4:8)

 

육체가 아무리 건강해도 경건에는 관심이 없다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스스로 하나님의 자녀로 살지 못하고 방탕과 죄의 유혹 가운데 살아간다면 그 육신은 결코 평안을 누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영적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은 예수님의 본을 따르는 것이 가장 좋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 땅에서 인간으로 삶을 사시면서 주변의 사람들을 사랑하셨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과의 교제를 놓치지 않으셨습니다. 새벽마다 기도의 자리에서 하나님과 교통하셨습니다. 공동체 안에서도 섬기며 살아가기를 기뻐하셨고 이 땅의 욕심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사셨습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보이신 모범이 되기를 원합니다.

 

건강한 정신이 우리의 육신의 삶을 평안하게 하기를 원합니다.


  1. 잡히시던 날 밤에 우리는?

    마가복음 14:43~52 14:43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곧 열둘 중의 하나인 유다가 왔는데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장로들에게서 파송된 무리가 검과 몽치를 가지고 그와 함께 하였더라 14:44 예수를 파는 자가 이미 그들과 군호를 짜 이르되 내가 입맞추는 자가...
    Date2020.04.08
    Read More
  2. 아름다운 사진 한 장

    요즘 새벽기도회를 마치고 교회 앞을 나서면 조용한 새벽 빛에 안개낀 풍경이 멋지게 펼쳐집니다. 해도 아직은 완전히 빛을 내지 않고 동이 터오는 동쪽 하늘은 붉게 빛을 냅니다. 그 옅은 빛을 받은 풍경에 안개가 조금 덮이면 그 새벽의 그림은 마음을 평안...
    Date2016.09.06
    Read More
  3. 길 위에서

    낫선 곳으로의 여행은 늘 약간의 긴장과 설레임으로 우리를 들뜨게합니다. 익숙한 곳을 떠나 그동안 내가 가보지 않은 장소로 떠나거나 전혀 만나보지 못했던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은 생소하지만 즐거운 경험입니다. 낫섦이 주는 두려움은 이내 ...
    Date2016.01.26
    Read More
  4. 걸음을 멈추지 않으면

    한동안 한국에 소개되어 붐을 일으켰던 “산티아고 순례길”이란 곳이 있습니다. 요즘 한국에 수없이 많이 만들어진 올레길, 둘레길등의 원조격이기도 한 스페인을 가로지르는 길의 이름입니다. 몇개의 루트가 있지만 프랑스길이 가장 많이 알려져 ...
    Date2018.05.01
    Read More
  5. 크고 작은 소망으로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 살며 교회에서 섬기는 매기존스라고 하는 여성의 글을 Christianity today에서 보았습니다. “나는 종종 뭔가 대단한 일을 하는 꿈에 사로잡히곤 했다. 인생을 바꿔 놓을만한 책을 쓰고, 숱한 군중이 모인 스타디움에서 사람들의 ...
    Date2020.01.07
    Read More
  6. 멈춤으로 성장한다.

    미국의 교육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존 듀이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울 때에 경험보다 중요한 것은 되돌아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않는다. 우리는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배운다.” 사...
    Date2020.09.15
    Read More
  7. 건강한 몸과 건강한 마음

    어릴 때 운동회를 하면 늘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란 슬로건이 생각이 납니다. 그것 때문인지 몰라도 이후로 육체가 건강해야만 정신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 이 말은 고대 로마의 시인이었던 유베나리스가...
    Date2017.05.31
    Read More
  8. 일상의 순례자

    청파교회 김기석 목사님의 글을 읽다가 생명이란 단어를 풀어 놓은 것을 보았습니다. 생명(生命)이란 단어는 生이라는 글자와 命이라는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인데 이 두 글자가 의미하는 바를 풀어 놓은 것입니다. 풀이나 나무가 자라듯이 주어진 조건에서 살...
    Date2018.01.10
    Read More
  9. 감동받는 것과 사는 것은 다르다

    주보에 실을 시를 시를 찾다가 ‘17세기의 어느 수녀의 기도’라는 시를 만났습니다. 작자도 알려지지 않고 실제로 17세기 어는 수녀의 기도문을 옮겨 놓은 것인지 알수 없는 시를 만났습니다. 한국의 여러 시인들이 이 시를 번역하고 옮겨 책에 실...
    Date2019.01.15
    Read More
  10. 믿음을 가지고 산다는 것은

    2014년 8월, 진화생물학자이자 유명한 무신론자인 리처드 도킨스에게 한 여성이 가상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물었습니다. “제가 정말로 다운증후군 아이를 임신한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정말 윤리적 딜레마가 아닐 수 없군요.” 도킨스는 몇 초 ...
    Date2019.05.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