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10 11:14

일상의 순례자

조회 수 1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bike-325890_960_720.jpg

 

 

청파교회 김기석 목사님의 글을 읽다가 생명이란 단어를 풀어 놓은 것을 보았습니다. 생명(生命)이란 단어는 生이라는 글자와 命이라는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인데 이 두 글자가 의미하는 바를 풀어 놓은 것입니다.

 

풀이나 나무가 자라듯이 주어진 조건에서 살아가는 것이 생(生)이라면, 내가 존재하는 의미를 묻고 그 의미를 찾아가면서 의미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명(命)이라는 것입니다.

 

명이라는 글자가 본래 머리에 관을 쓴 사람이 무릎을 꿇고 조용히 하늘의 계시를 받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는 이처럼 하나님이 허락하신 명의 의미를 깨닫게 될 때 비로소 분명해 진다는 것입니다.

 

읽으면서 한편으로 참 의미 있는 풀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하나님이 유리에게 생명을 주신 것은 이 땅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의미 있게 살아가기를 바라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 지으시고 소명을 주시면서 삶을 시작하게 하셨지만 첫 사람 아담으로부터 그 삶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유리하는 땅인 에덴 동편으로 쫓겨나고 말았습니다. 그때로부터 우리는 생을 살면서 명을 찾아가는 순례자로 살게 된 것입니다.

 

죤 번연이 천로역정을 쓰면서 그리스도인을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가는 순례자로 그렸습니다. 인생의 욕망을 따라 사는 탐욕의 도시를 떠나 하나님의 영광이 가득한 거룩한 도성을 향해 먼 길을 걷는 순례자의 삶이 우리들의 삶이라는 것입니다. 그 길에는 유혹도 있고 좌절과 실패도 있습니다. 그러나 목적지를 잃지 않는 한 그는 길을 완주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 앞에서 우리는 오늘도 길을 걷습니다. 그러나 그 걷는 길이 자주 무의미해지는 것을 느낍니다. 정처 없이 흘러가는 나그네와 같기도 하고 하루하루 의미 없이 시간의 흐름을 뒤따라가는 삶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발버둥치고 영 엉뚱한 곳에서 그 의미를 찾아 헤매기도 합니다.

 

인간은 본래 하나님이 만드시고 소명을 주셔서 이 땅에 있게 한 존재들입니다. 다시 말해 이 세상에 있을 이유가 분명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찾은 이들은 삶의 길을 걷는 걸음에 힘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이유를 찾지 못하고 찾으려 하지 않는 이들은 어디인지를 모를 곳에서 나그네로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성경은 아직 어둠 가운데 순례의 길을 걷는 우리들에게 빛으로 오셔서 길이 되신 분을 소개합니다. 예수님은 이 땅에 오셔서 스스로를 “나는 길이”라고 선언하셨습니다. 그리고 나를 따라오라고 부르셨습니다. 당신이 앞서 길을 걸으면서 순례의 길을 걷는 이들에게 목적지와 그 이유를 분명하게 가르쳐 주셨습니다. 

 

이제 우리는 우리에게 오셔서 길이 되신 분을 따라 이 땅에서 살아갑니다. 나에게 주신 의미를 그분의 음성을 통해 듣고 그분의 삶의 길을 따라 배우게 됩니다. 그 길 위에서 오늘도 우리는 다리에 힘을 싣고 걷는 연습을 합니다. 

 

어린아이마냥 내 마음대로 향방 없이 걷던 걸음을 그분의 음성을 따라 순종하며 걷는 걸음으로 바꾸어갑니다. 그리고 그렇게 걷는 우리에게 “내가 세상 끝 날까지 너와 함께 있으리라” 말씀하시는 격려를 듣습니다.

 

2018년 한 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길이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의미를 듣고 찾고 걷는 걸음이기를 원합니다. 혼자 걷는 것이 아니라 그분과 함께 이 순례의 길을 걸으면서 기뻐하며 즐거워하는 하루가 되기를 기도합니다.


  1. 잡히시던 날 밤에 우리는?

    마가복음 14:43~52 14:43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곧 열둘 중의 하나인 유다가 왔는데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장로들에게서 파송된 무리가 검과 몽치를 가지고 그와 함께 하였더라 14:44 예수를 파는 자가 이미 그들과 군호를 짜 이르되 내가 입맞추는 자가...
    Date2020.04.08
    Read More
  2. 아름다운 사진 한 장

    요즘 새벽기도회를 마치고 교회 앞을 나서면 조용한 새벽 빛에 안개낀 풍경이 멋지게 펼쳐집니다. 해도 아직은 완전히 빛을 내지 않고 동이 터오는 동쪽 하늘은 붉게 빛을 냅니다. 그 옅은 빛을 받은 풍경에 안개가 조금 덮이면 그 새벽의 그림은 마음을 평안...
    Date2016.09.06
    Read More
  3. 길 위에서

    낫선 곳으로의 여행은 늘 약간의 긴장과 설레임으로 우리를 들뜨게합니다. 익숙한 곳을 떠나 그동안 내가 가보지 않은 장소로 떠나거나 전혀 만나보지 못했던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은 생소하지만 즐거운 경험입니다. 낫섦이 주는 두려움은 이내 ...
    Date2016.01.26
    Read More
  4. 걸음을 멈추지 않으면

    한동안 한국에 소개되어 붐을 일으켰던 “산티아고 순례길”이란 곳이 있습니다. 요즘 한국에 수없이 많이 만들어진 올레길, 둘레길등의 원조격이기도 한 스페인을 가로지르는 길의 이름입니다. 몇개의 루트가 있지만 프랑스길이 가장 많이 알려져 ...
    Date2018.05.01
    Read More
  5. 크고 작은 소망으로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 살며 교회에서 섬기는 매기존스라고 하는 여성의 글을 Christianity today에서 보았습니다. “나는 종종 뭔가 대단한 일을 하는 꿈에 사로잡히곤 했다. 인생을 바꿔 놓을만한 책을 쓰고, 숱한 군중이 모인 스타디움에서 사람들의 ...
    Date2020.01.07
    Read More
  6. 멈춤으로 성장한다.

    미국의 교육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존 듀이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울 때에 경험보다 중요한 것은 되돌아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않는다. 우리는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배운다.” 사...
    Date2020.09.15
    Read More
  7. 건강한 몸과 건강한 마음

    어릴 때 운동회를 하면 늘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란 슬로건이 생각이 납니다. 그것 때문인지 몰라도 이후로 육체가 건강해야만 정신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 이 말은 고대 로마의 시인이었던 유베나리스가...
    Date2017.05.31
    Read More
  8. 일상의 순례자

    청파교회 김기석 목사님의 글을 읽다가 생명이란 단어를 풀어 놓은 것을 보았습니다. 생명(生命)이란 단어는 生이라는 글자와 命이라는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인데 이 두 글자가 의미하는 바를 풀어 놓은 것입니다. 풀이나 나무가 자라듯이 주어진 조건에서 살...
    Date2018.01.10
    Read More
  9. 감동받는 것과 사는 것은 다르다

    주보에 실을 시를 시를 찾다가 ‘17세기의 어느 수녀의 기도’라는 시를 만났습니다. 작자도 알려지지 않고 실제로 17세기 어는 수녀의 기도문을 옮겨 놓은 것인지 알수 없는 시를 만났습니다. 한국의 여러 시인들이 이 시를 번역하고 옮겨 책에 실...
    Date2019.01.15
    Read More
  10. 믿음을 가지고 산다는 것은

    2014년 8월, 진화생물학자이자 유명한 무신론자인 리처드 도킨스에게 한 여성이 가상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물었습니다. “제가 정말로 다운증후군 아이를 임신한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정말 윤리적 딜레마가 아닐 수 없군요.” 도킨스는 몇 초 ...
    Date2019.05.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