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nature-3306920_960_720.jpg

 


한동안 한국에 소개되어 붐을 일으켰던 “산티아고 순례길”이란 곳이 있습니다. 요즘 한국에 수없이 많이 만들어진 올레길, 둘레길등의 원조격이기도 한 스페인을 가로지르는 길의 이름입니다.

 

몇개의 루트가 있지만 프랑스길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고 프랑스 길은 프랑스 남쪽 끝에 위치한 생 장 피드포르(Saint-Jean-Pied-de-Port)에서 시작하여 국경을 이루는 피레네 산맥을 넘어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에 이르는 800km의 길입니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사도 야고보의 유해가 발견되었다고해서 9세기경부터 많은 카톨릭 순례자들이 이 길을 걷기시작했고 그러면서 순례의 길로 자기의 삶을 돌아보고 묵상하는 길로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습니다.

 

무려 800km에 이르는 긴 길이어서 보통은 한달에서 40일 정도의 시간을 꼬박 걸어서 이 길을 완주하게됩니다. 다녀온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참 힘든 길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자기를 돌아보고 순수하게 스스로의 삶을 생각해 보는 시간이기도 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인생의 전환점에 있는 이들이 어느순간 떠올리는 장소가 되기도 한것 같습니다. 마치 그 길을 걷다가보면 내 인생에 어떤 방향을 찾게 될 것같은 생각이 들기도합니다. 실제로 길을 걷는 이들도 있지만 그 길을 마음에 두면서 준비하는 이들도 많습니다.

 

그리고 실제 그렇게 긴 시간을 걷다가보면 생각속에 잡다하게 들어있는 잡념들은 사라지고 가장 단순한 감정들인 배고픔, 힘겨움, 더움, 쉼 같은 요소들이 드러나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마 길을 걷고나면 조금은 삶에 대해 근본적인 부분의 질문을 하게되고 작은 고민들을 덜고 오게되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길을 걷는 이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있습니다. 결코 이 길을 걷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그 쉽지 않은 길도 계속해서 걷다가보면 결국은 목적지에 도달하게 되더라는 것입니다. 목적지에 도달하게되면 성취감보다는 그 길을 걷는 동안 지나온 시간 때문에 행복하더라는 것입니다.

 

길이란 그렇습니다. 길을 걸을 때에 힘들 수도 있고 빠르게 뛰거나 느리게 걸을 수도 있습니다. 가끔은 걷는 것만으로도 행복하기도 하지만 또 너무 걷기 싫어 지치고 힘겨운 시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걷는 것을 멈추지 않으면 우리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인생이란 긴 길을 가는 동안 우리는 삶을 살아가는 것으로 길을 걷습니다. 그 길은 산다는 것으로 일단 걷는 것일테지만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삶이라고 할 때에는 그냥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으로 나를 부르신 부름을 기억하고 생각하면서 사는 것이 길을 걷는 것입겁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셨다는 것을 기억해서 하나님을 예배하고 내 이웃을 사랑하며 살아가는 삶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리고 그 시간들이 여러 과정과 환경을 지나겠지만 적어도 멈추지않고 살아가다가 보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열매들을 맺는 삶을 살게 될 것입니다.

 

기도하면서 한주간을 보냅니다. 그리고 마음에 주시는 묵상을 붙잡습니다. 하나님이 나를 그리스도인으로 부르셨고 이곳에 런던제일교회를 세우셨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오늘 그 부르심에 응답해서 내가 걸을 수 있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걷고 하나님이 기뻐하실 교회로 세워져 가기 위해 기도하고 수고하는 일을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게 길을 걷다가보면 우리가 가야할 그 곳에 분명히 도달할 날이 있을 것이고 그 길을 걷는 걸음을 하나님이 응원하시고 복주시리라 믿습니다. 그곳을 향해 그리스도인으로 교회로 오늘도 함께 겯기를 바랍니다.


  1. 잡히시던 날 밤에 우리는?

    마가복음 14:43~52 14:43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곧 열둘 중의 하나인 유다가 왔는데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장로들에게서 파송된 무리가 검과 몽치를 가지고 그와 함께 하였더라 14:44 예수를 파는 자가 이미 그들과 군호를 짜 이르되 내가 입맞추는 자가...
    Date2020.04.08
    Read More
  2. 아름다운 사진 한 장

    요즘 새벽기도회를 마치고 교회 앞을 나서면 조용한 새벽 빛에 안개낀 풍경이 멋지게 펼쳐집니다. 해도 아직은 완전히 빛을 내지 않고 동이 터오는 동쪽 하늘은 붉게 빛을 냅니다. 그 옅은 빛을 받은 풍경에 안개가 조금 덮이면 그 새벽의 그림은 마음을 평안...
    Date2016.09.06
    Read More
  3. 길 위에서

    낫선 곳으로의 여행은 늘 약간의 긴장과 설레임으로 우리를 들뜨게합니다. 익숙한 곳을 떠나 그동안 내가 가보지 않은 장소로 떠나거나 전혀 만나보지 못했던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은 생소하지만 즐거운 경험입니다. 낫섦이 주는 두려움은 이내 ...
    Date2016.01.26
    Read More
  4. 걸음을 멈추지 않으면

    한동안 한국에 소개되어 붐을 일으켰던 “산티아고 순례길”이란 곳이 있습니다. 요즘 한국에 수없이 많이 만들어진 올레길, 둘레길등의 원조격이기도 한 스페인을 가로지르는 길의 이름입니다. 몇개의 루트가 있지만 프랑스길이 가장 많이 알려져 ...
    Date2018.05.01
    Read More
  5. 크고 작은 소망으로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 살며 교회에서 섬기는 매기존스라고 하는 여성의 글을 Christianity today에서 보았습니다. “나는 종종 뭔가 대단한 일을 하는 꿈에 사로잡히곤 했다. 인생을 바꿔 놓을만한 책을 쓰고, 숱한 군중이 모인 스타디움에서 사람들의 ...
    Date2020.01.07
    Read More
  6. 멈춤으로 성장한다.

    미국의 교육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존 듀이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울 때에 경험보다 중요한 것은 되돌아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않는다. 우리는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배운다.” 사...
    Date2020.09.15
    Read More
  7. 건강한 몸과 건강한 마음

    어릴 때 운동회를 하면 늘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란 슬로건이 생각이 납니다. 그것 때문인지 몰라도 이후로 육체가 건강해야만 정신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 이 말은 고대 로마의 시인이었던 유베나리스가...
    Date2017.05.31
    Read More
  8. 일상의 순례자

    청파교회 김기석 목사님의 글을 읽다가 생명이란 단어를 풀어 놓은 것을 보았습니다. 생명(生命)이란 단어는 生이라는 글자와 命이라는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인데 이 두 글자가 의미하는 바를 풀어 놓은 것입니다. 풀이나 나무가 자라듯이 주어진 조건에서 살...
    Date2018.01.10
    Read More
  9. 감동받는 것과 사는 것은 다르다

    주보에 실을 시를 시를 찾다가 ‘17세기의 어느 수녀의 기도’라는 시를 만났습니다. 작자도 알려지지 않고 실제로 17세기 어는 수녀의 기도문을 옮겨 놓은 것인지 알수 없는 시를 만났습니다. 한국의 여러 시인들이 이 시를 번역하고 옮겨 책에 실...
    Date2019.01.15
    Read More
  10. 믿음을 가지고 산다는 것은

    2014년 8월, 진화생물학자이자 유명한 무신론자인 리처드 도킨스에게 한 여성이 가상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물었습니다. “제가 정말로 다운증후군 아이를 임신한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정말 윤리적 딜레마가 아닐 수 없군요.” 도킨스는 몇 초 ...
    Date2019.05.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