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7.04 14:02

교회라는 소망

조회 수 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now-tracks-63988_960_720.jpg

 


중국의 루쉰이라는 작가가 있습니다. 그는 중국의 격동기를 살면서 희망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희망이란 마치 땅 위의 길과 같은 것이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길이 되는 것이다.”

 

아무것도 바라보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희망을 가지고 걸어가는 사람들이 하나 둘씩 생기면 그들이 걷는 걸음을 통해 길이 생기고 그 길이 다른 이들에게 희망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 나는 오늘 나에게 맡겨진 길을 걸음으로 희망을 만드는 사람이 된다는 것입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세상에 교회라는 공동체를 남기셨습니다. 제자들이 중심이 되어 성령을 받은 성도들로 이루어진 공동체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하게 하셨습니다. 비록 그들의 출신이 다른 이들에게 내세울 것이 없고 가진 것들이 많지 않았지만 하나님은 그들을 통해 세상을 바꾸는 소망이 되게 하셨습니다.

 

교회가 출현한지 불과 100여년이 되지 않아서 세상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로 인해 소동이 일어났고 변혁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핍박에도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하며 자기의 길을 걸어가던 이들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생각합니다. 먼 미래가 아니라 바로 오늘을 사는 나의 삶에 문제이자 그 길에서 부르신 소망이라는 것을 알지만 여전히 손에 잡히는 감각은 아닌것을 봅니다. 내가 사는 삶이 하나님의 나라와 거리가 있고 내가 걷는 길이 여전히 불투명하고 불합리한 세상이기 때문일겁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초대교회로부터 지금까지 계속 자라왔습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들을 통해 더욱 확실하고 풍성하게 이 세상을 변혁시키기를 원합니다. 

 

많은 실패가 있었고 여전히 그 소망이 손에 잡히지 않아서 공허한 메아리가 되기도 하지만 하나님은 오늘도 우리에게 하나님의 나라를 이야기하시고 전하게 하시며 그 나라의 백성으로 살게 하시기를 기뻐하십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말씀을 들려주시고 은혜를 베풀어 주십니다.

 

한 주간을 지나면서 우리 런던제일장로교회라는 하나님의 나라를 생각합니다. 하나님이 세우시고 우리를 향해 맡기신 이 교회를 통해 우리는 어떻게 하나님의 나라를 만들어 갈 수 있을까? 

 

가끔은 소망이 넘치다가도 금방 갈 곳를 알지 못해 갈팡질팡하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합니다. 하나님은 그런 나와 우리들을 통해서 하나님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며 확장시키는 하나님의 교회가 되게 하셨습니다. 아직 정확한 길을 찾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내게 맡기신 길을 묵묵히 걷다가보면 그것이 소망이 되고 뒤따라 오는 다른 이들에게 이정표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내가 바라볼 소망은 우리의 외부에 있지 않고 우리 안에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우리 스스로가 희망을 만들어 내지는 못한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수고하며 걸어가는 걸음은 다른 이들에게 희망이 되어진다고 믿습니다. 자꾸 밖을 바라보고 어디선가 나를 향해 뚝 떨어지는 희망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의지를 가지고 결단해서 걸어가는 걸음을 도우시고 격려하시는 하나님과 함께 소망을 만들기를 원합니다.

 

하나님은 아직도 여전히 이 땅의 소망을 교회로 삼으시는 줄 믿습니다. 넘어지고 초라한 모습일 때도 많지만 그래서 더욱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며 겸손히 무릎을 꿇는 이들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만들어 가시는 줄 믿습니다. 우리 런던제일장로교회가 그런 세상의 소망이 되기를 원합니다. 우리가 걷는 걸음을 통해 이 땅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를 심고 확장 하는 사람들이기고 싶습니다.


  1. No Image

    "느림의 미학"

    "느림의 미학" 신천옹이란 새를 아십니까? 신천옹은 슴새목(Procellariiformes) 알바트로스과(Diomedeidae)의 거대한 새로써 몸길이가 84~91cm지만 날개를 펴면 2.3~3.7m에 이르는 북태평양에서는 가장 덩치가 큰 알바트로스 종류의 새입니다. 영어 명으로는 ...
    Date2011.06.30
    Read More
  2. 2013년의 온전한 삶을 위한 25가지 선언

    이 글은 Ann Voskamp라는 분의 블로그에서 가져온 글입니다. "천개의 선물"이라는 책을 쓴 온타리오 시골에서 사는 분이기도 합니다. 잘 번역해서 올려야 하겠지만 제 나름대로 짧은 시간에 읽고 의역해서 올립니다.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는 마당에 그러나 ...
    Date2013.01.30
    Read More
  3. No Image

    35년을 한결같이

    35년을 한결같이 김요환 목사 매년 맞이하는 교회 창립주일이지만 그렇다고 늘 같은 것은 아닙니다. 특별히 저에게는 하나님이 런던제일장로교회를 섬기라 보내주시고 위임하게 된 주일일 뿐만 아니라 담임목사로 맞이하는 첫 창립기념주일이기 때문입니다. 덕...
    Date2011.06.30
    Read More
  4. 4분 33초

    1952년 8월 29일 미국 뉴욕 우드스톡 야외공연장에서 현대음악가 존 케이지의 연주곡이 초연을 했습니다. 그 제목은 이후에 초연의 길이를 가지고 붙이게 된 “4분 33초”입니다. 연주자는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튜더였습니다. 공연은 연주자가 들어...
    Date2023.06.27
    Read More
  5. Bridge Builder

    교황을 영어로 Pope라고 부르고 이는 라틴어 Papa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교황에 대한 라틴어 표현이 한가지 더 있습니다. Summus Pontifex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이것은 제사장을 의미하는 단어로부터 유래한 것입니다. 라틴어로 ‘폰티펙스(pontifex)&r...
    Date2023.02.02
    Read More
  6. Bush 41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생각들이 있습니다. 독실한 그리스도인인 그의 믿음과 그의 신면으로 한 행동에 대해 여러가지 비판과 이야기들이 있고 저 역시 그에 대해 그리 호의적인 생각을 갖고만 있지는 않습니다. 그의 정치적인 결정과...
    Date2013.09.04
    Read More
  7. I Love Brenden

    브랜든 포스터(1997년 10월 4일 - 2008년 11월 21일)는 워싱턴 주 보텔(Bothell)에서 태어나 자랐습니다. 그는 빨리 달리기와 높은 곳에 오르기를 좋아하는 평범한 소년이었습니다. 그는 커서 바다의 사진사가 되는 것이 꿈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는 8살이 되...
    Date2014.08.26
    Read More
  8. Las Patronas

    8월 1일자 영국 BBC 뉴스에서 소개가 된 단체 이야기가 있습니다. 맥시코 코르도바주의 작은 시골마을인 ‘라 파트로나’(La Patrona)에서 일어나는 이야기입니다. 요즘 미국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중 하나는 중남미에서 이주해오는 불법 이민자들 문제입니다. ...
    Date2014.08.05
    Read More
  9. No Kids Zone

    최근들어 한국에 이상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어린이를 데리고는 들어 갈 수 없는 식당들이 생겨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흔히들 ‘노 키즈 존’이라고 부르는 것들입니다. 부모들과 함께 온 아이들이 식당이나 혹은 카페같은 공간...
    Date2017.12.12
    Read More
  10. No Image

    Pace Maker

    2001년 10월 시카고 마라톤에서는 특별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대회의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터갓의 페이스메이커인 벤 키몬디우라는 선수가 끝까지 경쟁하다가 결국 1등으로 들어 온 것입니다. 페이스메이커는 마라톤에서 선수들의 기록을 향상시키기 ...
    Date2015.07.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