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8.21 13:01

다시 쓸 수 없지만

조회 수 1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6ccf01914b7189645c63a822b7c3885.jpg

                                                                                                                 "더불어숲" 홈페이지에서

 


제가 좋아하는 신영복선생의 글씨입니다. 작은 그림에 자신의 생각을 담아 붓글씨를 써 서화를 만들어 놓은 것인데 그 내용이 한참을 음미하게합니다.

 

요즘 글쓰기야 컴퓨터를 사용하든 아니면 휴대전화를 사용하든 간에 쉽게 쓰고 틀리면 되돌아가 지우고 고치고 하는 일이 어렵지 않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애써 글을 쓰고 정성을 기울여 한 글자 한 단어를 생각하며 쓰기가 쉽지 않습니다.

 

여전히 손으로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지만 써 놓은 것들이 그리 만족스럽지는 않아서 점점 만년필이며 펜으로 글쓰기를 하지 않게 됩니다. 특별히 요즘은 글씨를 쓸 때 안경을 쓰지 않고는 초점을 맞추는 것이 어려워서 그저 감으로 글씨를 쓰게 됩니다. 

 

한편으로는 글씨가 잘보이지 않으니 다행이기도 합니다. 못난 글씨 때문에 마음 상할 일이 없고 잘 보이지 않으니 그나마 많이 쓰지도 않게 되기도합니다. 그래도 손으로 쓰면 글씨가 이쁘지는 않을지 몰라도 잘 틀리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컴퓨터로 글을 쓰다보면 자꾸 써놓은 글씨가 엉뚱하게 타이핑이 되어 있습니다. 이런 일은 휴대전화를 쓰면서 훨씬 더 자주 일어납니다. 잘 썼으려니 하고 그저 보내고나면 뒤에 오타가 난 것을 발견하고 민망해합니다. 보내고 나면 고칠 방법이 없으니 하는수가 없습니다.

 

글쓰기에 대해 신영복선생이 쓴 글은 붓으로 한글자 정성스럽게 써 내려가는 일을 생각하면 이해가 됩니다. 한번 쓴 글을 다시 쓰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한번 그은 획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다음 획으로 보완하고 균형을 맞추어 나가면서 글씨를 써 내려갑니다.

 

마치 인생을 살아가는 방식과도 비슷합니다. 한번 살아낸 시간은 다시 돌이켜 고쳐 살 수 없습니다. 그것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이제 할 수 있는 것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때로는 조금 반성과 후회를 담아 방향을 고쳐 나가는 수 밖에 없습니다.

 

금방 손바닥을 뒤집듯이 내 태도가 바뀌지도 않으려니와 내가 살아온 시간들이 전혀 다른 방향으로 향하지도 않습니다. 생각이 바뀌면 내 태도가 조금씩 바뀌게 되고 그런 변화는 이전의 삶을 감싸고 조금씩 수정되고 또 조정되어 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생은 한번 그은 것으로 끝나는 것일수 없습니다. 조금 잘못 그은 획을 다음 획이 보완 할 수 있듯이 아주 잘 그은 확도 다음에 그은 획이 균형을 무너뜨리고 망칠 수 있습니다.

 

열왕기서를 묵상하면서 이스라엘의 왕들이 처음에는 선하게 잘 살았지만 나중에 하나님 앞에 교만해진 이야기를 읽습니다. 결국 그들은 실패로 끝나는 인생 이야기를 남겼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하나님은 악한 왕들에게도 기다려주시고 기회를 주셔서 그들이 돌아 올 수 있도록 해 주신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오늘도 나의 연약함을 기다려 주시고 하나님의 말씀과 뜻 가운데로 돌아 오기를 부르시는 하나님을 기억합니다. 조금 삐딱하게 그은 지난 시간들 위에 조금 수고해서 균형을 맞추고 보완해서 아름다운 글씨를 써 내려 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나중에 돌아보면 조금 삐딱하게 시작했어도 전체가 하나님 보시기에 아름다운 인생이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 다시 쓸 수 없지만 file 2018.08.21
454 천개의 선물 file 2021.10.12
453 시간과 공간 file 2022.03.08
452 우리가 안다고 하는 것들 file 2022.05.03
451 하나님이 일하시는 부흥 file 2023.03.10
450 피곤하게 살기 file 2016.03.22
449 콘트라베이스 file 2018.03.13
448 잊어버린 놀라움 file 2019.05.01
447 그래도 괜찮아 file 2022.07.30
446 어떻게 성경을 읽을까? file 2023.02.16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