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rayer-1308663_960_720.jpg

 

 

주보에 실을 시를  시를 찾다가 ‘17세기의 어느 수녀의 기도’라는 시를 만났습니다. 작자도 알려지지 않고 실제로 17세기 어는 수녀의 기도문을 옮겨 놓은 것인지 알수 없는 시를 만났습니다. 한국의 여러 시인들이 이 시를 번역하고 옮겨 책에 실은 것을 보면 아마도 이름을 알 수 없는 어느 17세기를 살았던 수녀의 기도인 것이 맞는 모양입니다.

 

조금씩 번역은 다르지만 그 내용은 지금 우리가 읽어도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내용들입니다. 그 시를 조금만 옮겨 본다면 이렇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아픔에 대한 얘기를 기꺼이 들어줄

은혜야 어찌 바라겠습니까만

적어도 인내심을 갖고 참아 줄 수 있도록 도와 주소서.

 

제 기억력을 좋게 해주십사고 감히 청할 순 없사오나

제게 겸손된 마음을 주시어

제 기억이 다른 사람의 기억과 부딪칠 때

혹시나 하는 마음이 조금이나마 들게 하소서.

나도 가끔 틀릴 수 있다는 영광된 가르침을 주소서.

 

제가 눈이 점점 어두워지는 건 어쩔 수 없겠지만

저로 하여금 뜻하지 않은 곳에서 선한 것을 보고

뜻밖의 사람에게서 좋은 재능을 발견하는 능력을 주소서.

 

 

중간 중간 옮겨서 전체를 다 볼수는 없지만 수녀는 자신의 나이듦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 더 선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기도로 바꾸고 있습니다. 육신의 연약함을 인정하지만 그것으로 오히려 다른 이들을 이해하고 인정할 수 있게 되기를 기도하고 작은 일에지만 타인의 선한 모습을 보고 격려하고 칭찬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도합니다. 하나님께 간구하는 기도의 내용을 보면서 참 아름답고도 좋다는 마음을 금할 길이 없습니다. 문제는 그렇게 공감되는 글일 수록 그렇게 살고 실천하는 일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자주 누군가의 글이나 이야기를 들으면서 고개를 끄덕이거나 감동을 받습니다. 특별히 말씀을 전하는 사람으로 사는 저에게는 더욱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받는 은혜와 감격이 있습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고개를 끄덕이다가도 나의 현실에 들어서면 정말 실천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겪게되는 것을 봅니다.

 

어떤 것들은 모두가 공통적으로 인정하거나 느끼지 못하기도합니다. 각자의 기호나 생활환경, 혹은 자라온 배경에 따라서 더 좋게 느끼기도하고 더 많이 분노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 마음을 울리는 감동은 아주 일부를 제하고는 거의 동일한 부분에서 감동하고 그 말을 인정하게 되는 것을 봅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우리 내면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순수하고 고유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어서 비슷한 부분에 감동하고 마음에 울림을 얻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감동이 되는 것들을 보고 특별히 그런 글이나 말을 접하게 되면 메모하고 기억하고 싶어집니다. 그러나 그렇게 나의 삶을 실천하려고 하는데는 꽤나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유는 모두가 감동할 만하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에게 보편적으로 만나게 되는 것들이 아니기 때문일겁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기는 하셨으나 실천하고 헌신하기에는 어려운 덕목이기 때문일것입니다.

 

2019년을 시작하면서 한가지 소망과 도전이 있다면 모든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선한 영역의 삶을 살아가려고 애써야 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에서 요구하시고 세상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삶의 덕목들이 내 속에 하나씩 자리하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이 일을 위해서 애써 수고하며 기도하려고합니다. 내가 할 수 없는 일들이며 가지기 어려운 성품이니 하나님이 주셔야 할것이라고 기도의 자리에서 떼를 써보아야 겠습니다.


  1. 감각은 느리고 시간은 빠르고

    2005년 여름이 시작될 무렵 처음 아이들과 아무런 정보도 없이 캐나다 런던 땅을 밟았습니다. 윤호윤 장로님이 디트로이트에서 픽업해 주셔서 호텔에서 하룻밤을 묵고 교회 선교관으로 온것이 런던제일장로교회를 처음 만난 시간이었습니다. 첫날 저녁 늦게 ...
    Date2022.02.15
    Read More
  2. 감동받는 것과 사는 것은 다르다

    주보에 실을 시를 시를 찾다가 ‘17세기의 어느 수녀의 기도’라는 시를 만났습니다. 작자도 알려지지 않고 실제로 17세기 어는 수녀의 기도문을 옮겨 놓은 것인지 알수 없는 시를 만났습니다. 한국의 여러 시인들이 이 시를 번역하고 옮겨 책에 실...
    Date2019.01.15
    Read More
  3. 감동할까? 부러워할까?

    요즘과 같이 미디어가 발달한 시대에는 참 여러곳에서 많은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예전에는 전혀 알지 못했을 먼나라 이야기에서부터 어떤 사람들의 사소하고 개인적인 이야기들까지 보고 들으려고 하면 얼마든지 많은 것들을 보고 들을 수 있습니다. 덕분에...
    Date2022.09.06
    Read More
  4. No Image

    감사

    내 하루의 처음과 마지막 기도 한 해의 처음과 마지막 기도 그리고 내 한 생애의 처음과 마지막 기도는 ‘감사합니다!’라는 말이 되도록 감사를 하나의 숨결 같은 노래로 부르고 싶다. 감사하면 아름다우리라. 감사하면 행복하리라. 감사하면 따뜻...
    Date2015.01.02
    Read More
  5. 감사로 시작하는 한 해

    2024년을 시작하면서 “감사”에 대한 말씀으로 시작합니다. 특별새벽기도회 기간을 “감사하는 성도, 감사를 채우시는 하나님”이란 주제로 진행하면서 그동안 참 감사하는 말과 고백을 잘 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캐나다에 ...
    Date2024.01.09
    Read More
  6. No Image

    감사의 조건

    1. 자신에게 실망해서 늘 불만이 많은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자기의 성품과 형편을 노트에 기록하면서 한숨을 쉬고 있는데 하나님의 마음이 느껴지더랍니다. 내가 사랑하는 자녀를 너는 왜 그렇게 평가하느냐고 말입니다. 2. 다시 자기 노트에 기록한 단점들...
    Date2013.10.16
    Read More
  7. No Image

    감사주일의 유래

    감사주일의 유래 김요환목사 청교도들이 메이 플라워 호를 타고 미국에 도착하여 얼마 지나지 않아 그들 중 반 이상이 굶어 죽고 병들어 죽었습니다. 게다가 남아 있는 사람들마저 해마다 겹치는 흉년으로 고통을 당했습니다. 도무지 밝은 전망이 보이지 않았...
    Date2011.06.30
    Read More
  8. 감사하는 삶

    2007년 9월 18일, 말기 췌장암에 걸려 시한부 인생을 선고 받은 카네기멜론대학교 컴퓨터공학 교수 랜디 포시(47)가 피츠버그 캠퍼스에서 ‘마지막 강의’를 했습니다. 학생과 동료 교수 등 400명을 앞에 두고 펼친 고별 강의는 유쾌한 웃음으로 시작해 이내 뜨...
    Date2012.08.24
    Read More
  9. No Image

    감사하는 생활(2010년9월3일)

    감사하는 생활 멕시코 어떤 마을에 온천과 냉천이 옆에서 가지런히 솟아나는 신기한 곳이 있습니다. 한쪽에는 부글부글 끓는 온천이 땅에서 솟아오르고 그 옆에는 얼음물과 같이 차가운 냉천이 솟아오릅니다. 그래서 많은 멕시코 여인들이 그곳에 와서 빨래를 ...
    Date2011.06.30
    Read More
  10. 감사한다는 것

    추수감사주일입니다. 이리저리 머리를 굴리고 깊이 생각에도 잠겨봅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야 추수감사라는 것이 체감되는 것도 아니긴하지만 그래도 가을에 단풍이 들고 열매들이 결실하는 것을 보면 저절로 평안해지고 감사의 마음이 일어납니다. 감사...
    Date2017.10.1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