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3.19 10:42

나는 어떤 풍경일까?

조회 수 1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winter-3772616_960_720.jpg

 

 

정현종시인의 시중에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는 시에서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는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가장 행복할 때라고 했습니다.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난 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생각해봅니다. 아마 시에서 처럼 차를 마시거나 어느 곳에 앉아 있거나 혹은 풍경의 일부 처럼 녹아 들어 있을 때의 모습을 그리는 것인가 봅니다. 아름다운 풍경 안에서 그 일부가 되어 피어나는 모습을 바라 보는 것이나 아니 직접 그 풍경의 일부가 되는 것은 참 행복한 모습이라는 것입니다.

 

캐나다의 긴 겨울을 지나면서 기다리는 풍경이 있습니다. 봄이 되어 집 앞이며 지나는 길에 노랗게 올라오는 수선화가 가득한 풍경입니다. 특별히 캐나다에서 피는 수선화들은 그 꽃이 키도 크고 송이도 커서 여러송이가 함께 피어 있는 모양이 참 아름답기도 하고 드디어 긴 겨울이 끝이 났다는 것을 실감나게 하는 풍경이어서 일겁니다.

 

겨울이 되면 하얗게 쌓인 눈이 온 세상을 덮어 온통 하얀으로 덮인 들판이며 숲의 풍경을 떠 올리고 여름이면 온통 푸른 나무들이 그 잎을 짙게 물들여 초록이 무성해져서 눈이 닿는 곳마다 지천으로 덮인 풍경이 떠 오릅니다.

 

어린 시절을 생각하면 작은 개척교회 주일마다 울리던 차임벨과 일찍 일어나 예배당에 가서 피우던 톱밥난로 생각이 떠오릅니다. 그런 것들이 오랜 기억속에서 아름다운 풍경으로 떠오르는 것은 그 시간에 일어 났던 많은 일들 중에서 가장 행복했던 시간들이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누군가를 떠올리고 어딘가를 생각할 때 떠오르는 풍경들이 있습니다. 그것이 아름다운 풍경 일 때도 있지만 때로는 아프고 힘겨운 시간에 대한 기억 일 때도 있습니다. 


문득 나는 어떤 풍경 가운데 존재하고 있을까가 궁금해집니다. 내가 사랑하는 아이들의 기억 속에서 나는 어떤 풍경에 자리하고 있을지 궁금합니다.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던 어린시절 친구들에게는 어떤 기억 속에서 자리하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가르쳤던 제자들과 청년들이나 함께 섬기던 교회의 지체들에게 과연 나는 어떤 풍경으로 자리하고 있을지 별 짐작이 되질 않습니다. 다만 기대하기는 그들의 기억 가운데 차라리 희미하게 사라져 버린 기억일망정 밉고 싫은 풍경의 일부가 되지는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이미 지나버린 시간들이기에 돌이키기 힘들겠지만 앞으로의 시간들은 아름다운 풍경으로 자리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봅니다. 

 

정작 그런 생각에도 어떻게하면 아름다운 풍경의 일부로 피어 날 수 있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내 기억을 뒤져보아도 그 아름다운 풍경의 일부로 자리하는 이들이 애스고 노력해서 그 기억에 남아 있는 것도 아니고 그들의 전적인 선함이나 아름다움이 풍경을 변화 시킨 것도 아니었습니다. 그저 그들이 있던 그 시간과 공간이 내 기억에 아름답게 남아 있을 따름입니다.

 

그래도 내가 사는 삶이 아름다운 모양을 만들어 내는 자리이길 바랍니다. 함께 있으면 행복하고 즐거운 일들이 많아지고 웃음과 평안이 넘칠 수 있는 사람이면 좋겠습니다. 혹시 그렇지 못하다면 적어도 분노와 실망으로 가득한 풍경을 만드는 사람은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예수님의 고난을 기억하며 지나는 사순절의 기간을 보냅니다. 예수님을 기억하면 그분의 십자가와 인자한 음성, 그리고 놀라운 사랑으로 연약한 나를 보시는 선한 눈빛을 떠올립니다.

 

예수님을 떠 올리며 가지는 아름다운 풍경의 일부가 되고싶습니다. 그 뒤를 따라 사랑을 말하고 전하며 긍휼을 품고 살아가는 교회이고 싶습니다. 우리가 존재하는 풍경이 누구에게 아름다운 풍경으로 기억되고 남았으면 좋겠습니다. 여전히 내것이 중요한 사람이지만 내가 속한 풍경이 누군가에게 기쁨이 되면 좋겠습니다.


  1. 나는 어떤 풍경일까?

    정현종시인의 시중에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는 시에서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는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가장 행복할 때라고 했습니다.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난 다는 것은 어떤 ...
    Date2019.03.19
    Read More
  2. 자녀를 위한 눈물

    한국에서 청년사역을 하는 후배목사로부터 지금 청년들이 처한 상황과 모습이 너무도 안타깝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어느때보다 부유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어느때보다 가난한 세대이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애쓰고 노력해도 가지고 태어난 형편을...
    Date2022.09.03
    Read More
  3.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날이 꽤 더워졌습니다. 가끔 비가 와서 후덥지근하지만 그래도 캐나다의 여름은 참 좋습니다. 그리 뜨겁지도 않고 그늘에만 들어가면 시원하고 쾌청한 것 같습니다. 언제 그 추운 겨울이었는지 잊을 만큼 뜨거운 태양이 머리 위에서 내리쬐면 아주 작게나마 ...
    Date2019.07.23
    Read More
  4. 기본에 충실하기

    예전에 한국에서 입시가 지나면 늘 회자되는 인터뷰들이 있었습니다. 그해 대학입시에서 최고점을 맞았거나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신문이나 방송과 인터뷰를 하면서 하는 말들말입니다. 한결같이 하는 말이 “교과서에 충실했고 예습과 복습을 철저히 ...
    Date2017.02.22
    Read More
  5. 말씀묵상/하박국 1:1~11

    하나님의 침묵을 채우는 기도 1:1 선지자 하박국이 묵시로 받은 경고라 1:2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니 어느 때까지리이까 내가 강포로 말미암아 외쳐도 주께서 구원하지 아니하시나이다 1:3 어찌하여 내게 죄악을 보게 하시며 패역을 ...
    Date2020.05.27
    Read More
  6. No Image

    좋아 하는 것

    저는 유독 강을 좋아 했습니다. 굳이 과거형을 쓰는 것은 지금도 강가를 거닐고 앉아 생각하는 것을 좋아 하지만 전보다는 훨씬 그 시간이나 횟수가 적기 때문입니다. 마음에 이런 저런 고민이 있을 때나 누군가와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을 때, 아니면 아이...
    Date2015.05.26
    Read More
  7. 나무처럼

    누가 그런 글을 썼더군요. 예수님의 삶은 마치 나무와 같다고 썼습니다. 아니 나무를 닮았기도 하지만 늘 나무와 관계가 있었고 그 나무를 통해 예수님의 성품을 보여주시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나실 때부터 낮고 천한 곳인 말구유에 누이셨고 이 땅...
    Date2019.06.04
    Read More
  8. 어머니에 대해 말하기

    꽤 오래전에 소설가 김주영이 쓴 “잘가요 엄마”라는 책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그 책을소개하면서 작가는 자신의 참회의 고백과 같은 소설이라고 말합니다. 자기 어머니에 대한 소설을 쓰면서 소설과 사실 사이에서 지독히 고만했다고 말합니다...
    Date2022.05.10
    Read More
  9. 세대를 넘어서

    최근에 MZ세대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정확히는 1980년대에서부터 2000년대에 태어난 세대들을 아우르는 말이지만 최근에 이전 세대와 다른면이 있는 세대들을 일컬어 말하는 단어로 쓰입니다. 이 전에도 각 시대를 따라 X세대니 신세대니 하는 말들이 있었...
    Date2022.07.10
    Read More
  10. No Image

    같은 걸음으로

    “길 위에서”라는 말을 참 좋아합니다. 내가 살아가는 삶 속에서 만나는 것들과 하는 일들 그리고 경험하고 견디어 내는 시간들을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 같아서입니다. 우리들의 삶은 조금은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 가끔은 좋은 길도 있고 ...
    Date2014.12.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