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23 13:43

지불완료

조회 수 1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jesus-3414845_960_720.jpg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마지막으로 “다 이루었다”고 선언하시고 영혼이 떠나 가셨다고 성경(요한복음 19:30)은 기록하고 있습니다.

 

테텔레스타이(다 이루었다)는 한마디로 값을 다 치루었다는 법정적인 용어입니다. 어떤 물건에 대한 값을 다 치루었거나 해야할 의무, 갚아야할 것들에 대하여 완전하게 지불을 마쳤을 때에 선언하는 말로 예수님 당시에 흔히 쓰이던 말이었습니다.

 

필리핀에는 일 년에 한 번씩 고난주간이 되면 놀라운 일들을 목격할 수 있습니다. 카톨릭교인들이 모여 스스로의 등에다가 피가나도록 채찍질을 하거나, 십자가를 등에 지고 몇 키로를 걷거나, 심지어는 십자가에 자신을 못 박고 몇 시간 동안 달려 있는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얼핏 보면 고난주간에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하며 의미있게 보내기 위해 애쓰는 것 같아 보입니다. 실제로 어떤 기자가 가서 과연 그들은 어떤 마음으로 이렇게 고난주간을 극심한 고통을 스스로 자초하면서 보내는 것인지를 물었습니다. 그들이 답하기를 “예수님의 보혈은 우리의 원죄를 씻고, 우리의 피는 우리의 자범죄를 씻기 때문이다.”고 대답했습니다. 또 다른 어떤 이는 이렇게 자기가 고난을 받으면 올 한해동안 우리 가족이 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을 거라는 소망 때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왜곡된 고난주간 행사는 결코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으심과 구원을 온전히 이해한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우리의 죄에 대한 대가를 모두 지불하셨습니다. 그리고 선언하셨습니다. “다 이루었다(테텔레스타이!)” 이제 우리가 더이상 지불할 것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죄를 위해 회개하고 예수님이 허락하신 구원을 기뻐하며 구원받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야 할 뿐입니다.

 

우리의 죄를 아파하고 통회하는 심정으로 하나님께 나아가야하지만 그렇다고 내 몸에 고통을 가한다고 나의 죄중 얼마를 갚을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침묵하고 나의 죄와 연약함을 통회하는 심정으로 하나님께 들고 나아 갈 수 있을지언정 그 죄를 스스로 감당할 수는 없습니다.

 

필리핀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다양한 모습으로 고난주간 행사들을 하거나 여러 모양으로 이 시간을 보내는 것을 봅니다. 우리들도 다르지 않아서 고난주간에는 특별새벽기도회로 모여 기도하고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구원을 묵상하며 보냅니다.

 

내가 갚지 못하는 죄의 대가를 예수님이 대신 갚으신 것을 기억하면서 그 은혜와 대속을 우리 몸과 마음에 새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내 이름이 예쑤님의 이름을 따라 그리스도인이 되었다는 것을 기억하고 그 이름에 부끄럽지 않게 살 수 있기를 원합니다.

 

언젠가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시는 그날 우리도 부끄럽고 조심스럽지만 “나도 내게 맡기신 일을 다 마쳤습니다.”고 고백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여전히 내게 맡기신 사명을 뒤로하고 내 욕심과 연약함을 앞세우는 사람이지만 고난주간을 지나면서 다시한 번 예수님의 보혈에 능력을 힘입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자리에 서기를 기도합니다.

 

나를 위해 그 모든 것을 다 이루신 예수님께 내 마음과 힘을 다해 찬양하고 예배하며 나아갑니다.


  1. 사랑과 기다림

    우리의 삶은 기다림의 연속입니다. 태어나면서부터 하나님이 부르시는 그날까지 우리는 무엇인가를 기다리며 살아갑니다. 어머니의 태속에서는 세상을 향해 나아갈 날을 기다리고 아이일때는 어른이 될 날을 기다립니다. 학교에서 방학을 기다리기도하고 졸업...
    Date2019.06.18
    Read More
  2. 나는 어디에 서있나?

    가정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는 한국 사람들의 특징은 이곳 캐나다에서 살아가는 상황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성품입니다. 하나님이 우리들을 지으신 아버지나 어머니의 책임(?)이 우리들의 삶에서 좋은 쪽으로든 나쁜(?)쪽으로든 드러나는 것을 봅니다. ...
    Date2019.06.12
    Read More
  3. 나무처럼

    누가 그런 글을 썼더군요. 예수님의 삶은 마치 나무와 같다고 썼습니다. 아니 나무를 닮았기도 하지만 늘 나무와 관계가 있었고 그 나무를 통해 예수님의 성품을 보여주시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나실 때부터 낮고 천한 곳인 말구유에 누이셨고 이 땅...
    Date2019.06.04
    Read More
  4. 느리게 생각하기

    매주 칼럼을 쓰기 위해서 애를 써보지만 가진 재능에 한계가 있어서 항상 힘이듭니다. 그래도 부족하지만 이렇게 글을 쓰는 것은 조금이나마 설교가 아닌 글을 통해서 생각을 나누고 대로는 위로를 혹은 격려나 도전을 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글들을 잘 쓰는 ...
    Date2019.05.29
    Read More
  5. 길 위에서

    카를로스 카스타네다는 <돈 후앙의 가르침>이란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내가 여행하는 길은 오직 한 가지 길뿐, 즉 마음이 담겨 있는 길이다. 어떤 길이든 마음이 담겨있는 길로 나는 여행을 한다. 여행하면서 그 길을 끝까지 다 걸어 보는 것! 그것만...
    Date2019.05.21
    Read More
  6. 어버이주일을 지나며

    어버이주일을 준비하다가 글을 하나 읽었습니다. 오래전에 미국에서 방영한 ‘판사’(The Judge)라는 TV 프로그램을 보고 기고한 글입니다. 이 드라마는 로버트 프랭클린이라는 나이 지긋한 가정법원 판사가 주재했던 실제의 판례를 드라마화한 것...
    Date2019.05.15
    Read More
  7. 믿음을 가지고 산다는 것은

    2014년 8월, 진화생물학자이자 유명한 무신론자인 리처드 도킨스에게 한 여성이 가상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물었습니다. “제가 정말로 다운증후군 아이를 임신한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정말 윤리적 딜레마가 아닐 수 없군요.” 도킨스는 몇 초 ...
    Date2019.05.08
    Read More
  8. 잊어버린 놀라움

    위키백과로 알려진 사전에서 “놀라움”에 대하여 이렇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놀라움은 어떠한 생물이 기대하지 않던 일을 겪게 될 때 느끼는 감정이다. 놀라움의 정도가 지나치면 충격에 빠지게 된다.>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에서 무엇인가에 놀란...
    Date2019.05.01
    Read More
  9. 지불완료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마지막으로 “다 이루었다”고 선언하시고 영혼이 떠나 가셨다고 성경(요한복음 19:30)은 기록하고 있습니다. 테텔레스타이(다 이루었다)는 한마디로 값을 다 치루었다는 법정적인 용어입니다. 어떤 물건에 대한 값을 다 치루...
    Date2019.04.23
    Read More
  10. 등가교환

    인류가 물건을 사고 팔거나 교화하기 시작하면서 적용된 원리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등가교환”이란 것입니다. 물물교환이라면 조금은 더 쉽게 설명이 가능할 것입니다. 서로가 물건을 바꿀때에는 비교적 같은 가치의 물건으로 바꾸는 것이 공...
    Date2019.04.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