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old-3484224_960_720.jpg

 

 

날이 꽤 더워졌습니다. 가끔 비가 와서 후덥지근하지만 그래도 캐나다의 여름은 참 좋습니다. 그리 뜨겁지도 않고 그늘에만 들어가면 시원하고 쾌청한 것 같습니다. 언제 그 추운 겨울이었는지 잊을 만큼 뜨거운 태양이 머리 위에서 내리쬐면 아주 작게나마 시원한 계절을 떠올리기도 합니다.

 

캐나다에서 여름을 맞으면서 생소하지만 즐거운 모습 중 하나가 길거리를 달리는 클래식 자동차들을 보는 것입니다. 주로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 언제 나온 모델인지도 모를 오래된 차를 운전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됩니다. 물론 관리를 잘하고 또 새롭게 고치고 칠도 해서 예쁘게 만들어 타고 다니는 것이어서 더 예뻐 보입니다. 알록달록하기도 하고 자그마한 크기에 땅에 낮게 붙어 달리는 차들을 보면 그 나름대로 재미가 있겠다 싶습니다.

 

제가 사는 동네에도 여름만 되면 집 차고를 열어놓고 오래된 클래식 자동차를 고치고 없는 부품은 만들어 붙이고 해서 시험 운전해 보곤 하는 어른이 있습니다. 아마 차체를 직접 만들고 있는 모양인지 아직 창문도 없고 색칠도 되지 않은 차를 몇 년이고 고치고 타곤 하는 모습을 봅니다. 한번은 고친 차를 타고 동네를 둘러보는데 그 모습을 보고 있는 나를 발견하고는 꽤 자랑스러운 표정으로 인사하시더군요. 그런 차를 고치고 타는 것이 당신의 자랑이자 즐거움인 것 같았습니다.

 

이렇게 오래된 차들을 잘 고쳐 타는 것 말고도 정말 오래된 차들도 길거리를 굴러다닙니다. 저런 차가 잘 굴러다닐까 싶기도 한데 그런 시선에 아랑곳없이 꽤 속도를 내고 달리는 차들을 봅니다. 차가 오래되면 고칠 곳이 많아지고 또 부품들도 사용 연한이란 것이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할 것입니다. 그래도 부품을 잘 교체해주고 또 관리하면 기계는 꽤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기도 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반면에 고속도로를 달리다가 보면 중간에 멈추어 있는 차들을 보기도 합니다. 어디인가 고장 난 게 분명합니다. 아주 드물게는 길가에 서 있는 차 중에는 연료가 떨어져서 움직이지 못하고 서 있는 차들도 있습니다. 아무리 멀쩡하고 고장 난 곳도 없어도 기름이 없으면 그 차는 더는 움직일 수 없습니다.

 

자동차는 고장 나지 않았다는 사실에 더불어 그 차를 움직이는 연료가 있어야만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계입니다. 아무리 잘 만들고 관리를 말끔하게 해놓아도 기께는 움직이게 할 연료가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고철에 불과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어쩌면 그런 자동차와 같은 존재들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겉으로는 비교적 성숙한 그리스도인들도 있고 아직은 어리고 미숙하거나 남들보기에 그렇게 거룩해 보이지 않는 연약한 성도들도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모든 성도들이 하나님이 주신 은혜로 조금씩 성숙해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그런 그리스도인들의 삶에는 지속적으로 부어지는 하나님의 기름부으심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성령의 은혜와 은사로 표현하거나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로 이야기해도 좋을 것입니다. 아니면 말씀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은혜나 기쁨일 수도 있고 기도 가운데 경험하는 하나님의 위로나 응답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어떤 것이 되었든 그리스도인들은 자기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존재들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의 구원이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을 의지하여 얻은 것이듯이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힘과 능력도 하나님으로부터 부어지는 은혜요 은사임을 고백합니다. 사람에 따라 조금은 편차가 있고 또 방법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 없이 그리스도인으로 하루를 기쁨과 감사함으로 살아가는 것을 불가능합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은혜가 기도의 자리이든 예배의 자리이든 아니면 홀로 묵상하는 말씀의 자리에서이든 모든 성도들에게 각자의 방법으로 풍성하게 채워지고 경험되기를 바랍니다.


  1. 나는 어떤 풍경일까?

    정현종시인의 시중에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는 시에서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는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가장 행복할 때라고 했습니다.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난 다는 것은 어떤 ...
    Date2019.03.19
    Read More
  2. 자녀를 위한 눈물

    한국에서 청년사역을 하는 후배목사로부터 지금 청년들이 처한 상황과 모습이 너무도 안타깝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어느때보다 부유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어느때보다 가난한 세대이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애쓰고 노력해도 가지고 태어난 형편을...
    Date2022.09.03
    Read More
  3.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날이 꽤 더워졌습니다. 가끔 비가 와서 후덥지근하지만 그래도 캐나다의 여름은 참 좋습니다. 그리 뜨겁지도 않고 그늘에만 들어가면 시원하고 쾌청한 것 같습니다. 언제 그 추운 겨울이었는지 잊을 만큼 뜨거운 태양이 머리 위에서 내리쬐면 아주 작게나마 ...
    Date2019.07.23
    Read More
  4. 기본에 충실하기

    예전에 한국에서 입시가 지나면 늘 회자되는 인터뷰들이 있었습니다. 그해 대학입시에서 최고점을 맞았거나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신문이나 방송과 인터뷰를 하면서 하는 말들말입니다. 한결같이 하는 말이 “교과서에 충실했고 예습과 복습을 철저히 ...
    Date2017.02.22
    Read More
  5. 말씀묵상/하박국 1:1~11

    하나님의 침묵을 채우는 기도 1:1 선지자 하박국이 묵시로 받은 경고라 1:2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니 어느 때까지리이까 내가 강포로 말미암아 외쳐도 주께서 구원하지 아니하시나이다 1:3 어찌하여 내게 죄악을 보게 하시며 패역을 ...
    Date2020.05.27
    Read More
  6. No Image

    좋아 하는 것

    저는 유독 강을 좋아 했습니다. 굳이 과거형을 쓰는 것은 지금도 강가를 거닐고 앉아 생각하는 것을 좋아 하지만 전보다는 훨씬 그 시간이나 횟수가 적기 때문입니다. 마음에 이런 저런 고민이 있을 때나 누군가와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을 때, 아니면 아이...
    Date2015.05.26
    Read More
  7. 나무처럼

    누가 그런 글을 썼더군요. 예수님의 삶은 마치 나무와 같다고 썼습니다. 아니 나무를 닮았기도 하지만 늘 나무와 관계가 있었고 그 나무를 통해 예수님의 성품을 보여주시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나실 때부터 낮고 천한 곳인 말구유에 누이셨고 이 땅...
    Date2019.06.04
    Read More
  8. 어머니에 대해 말하기

    꽤 오래전에 소설가 김주영이 쓴 “잘가요 엄마”라는 책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그 책을소개하면서 작가는 자신의 참회의 고백과 같은 소설이라고 말합니다. 자기 어머니에 대한 소설을 쓰면서 소설과 사실 사이에서 지독히 고만했다고 말합니다...
    Date2022.05.10
    Read More
  9. 세대를 넘어서

    최근에 MZ세대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정확히는 1980년대에서부터 2000년대에 태어난 세대들을 아우르는 말이지만 최근에 이전 세대와 다른면이 있는 세대들을 일컬어 말하는 단어로 쓰입니다. 이 전에도 각 시대를 따라 X세대니 신세대니 하는 말들이 있었...
    Date2022.07.10
    Read More
  10. No Image

    같은 걸음으로

    “길 위에서”라는 말을 참 좋아합니다. 내가 살아가는 삶 속에서 만나는 것들과 하는 일들 그리고 경험하고 견디어 내는 시간들을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 같아서입니다. 우리들의 삶은 조금은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 가끔은 좋은 길도 있고 ...
    Date2014.12.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