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10 11:49

실패한 것 같아도

조회 수 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prout-933892_1280.jpg

 


어떤분이 봄에 아름다운 꽃을 볼 요량으로 상사화 구근을 얻어다가 화단에 심었답니다. 꽤 많은 구근을 얻어다가 화단을 예쁜꽃으로 채울 생각에 기쁨으로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무려 900여개나 되는 구근을 심었는데 정작 꽃이 핀것은 불과 몇개에 불과했습니다. 아마도 구근이 이미 싹이 난 상태에 캐자마자 바로 옮겨심지 않고 이틀을 두었다가 옮겨심은 탓이었던 것 같습니다.

 

처음 난 잎이 지고나면 아름다운 꽃이 피고 그 꽃을 볼 기쁨도 함께 사라져버리고 말았습니다. 아주 작은 실수가 일년농사를 망쳐버린 것입니다. 몇개의 꽃은 피었지만 휑한 화단은 볼때마다 마음을 상하게 만드는 이유가 되고 말았습니다.

 

일년이 지나고 그 다음해에 기대하지 않은 화단에서 작년에 심어 놓았던 상사화가 모두 싹을 틔우고 잎을 내었습니다. 비록 심은 해에는 잎을 내지 못했지만 땅속에 있던 구근은 생명을 잃지 않아서 일년을 땅 아래에서 생명을 보존하고 있다가 이듬해 봄이 되자 싸을 틔우고 잎을 낸 것입니다. 아마도 그해 여름은 상사화 꽃으로 가득한 화단을 보면서 행복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은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그중에서 꽤나 많은 부분을 우리는 알지 못합니다. 조금씩 발견하기도 하고 때로는 우리의 방식으로 조금씩 변화시키기도 하지만 여전히 하나님이 만드시고 운행하시는 이 세상의 여러 비밀들을 인간의 지혜로 다 깨닫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별히 생명과 관련된 것들은 더욱 신비로와서 어떻게 그토록 여린 것들이 거칠고 혹독한 환경과 시간을 견디고 아름다운 생명을 피어내는지 알길이 없습니다.

 

하나님은 그 창조의 최고점에 우리들을 만들어 내셨습니다. 인간을 만드시고 그 안에서 또 하나님의 자녀들을 불러 내셨습니다. 우리에게 하나님의 지혜와 능력을 부으시고 이제 영원한 생명의 구원을 허락하셔습니다. 부르신 우리들에게는 성령을 부으시고 동행하심으로 우리 안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 내며 기뻐 하도록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이 세상에 작은 식물에게도 생명을 허락하시고 그 생명을 통해 아름다운 꽃을 피우게 하십니다. 하물며 하나님이 당신의 형상으로 지으시고 생명을 불어 넣으신 우리들에게 더 큰 은혜와 능력을 주셨습니다. 비록 죄악으로 실패하고 하나님의 품을 떠났지만 그런 낮은 자리로 찾아 오셔서 십자가에서 회복시켜 주셨습니다.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셨지만 예수님은 죽음에 머물러 있지 않으시고 부활하여 영광의 자리에 앉으셨습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우리들에게도 같은 은혜와 영광을 약속하셨습니다. 

 

어려운 시기를 지나면서 주변을 바라보고 나를 바라볼 때 가끔은 실패한듯한 마음을 가질 때가 있습니다. 다시 일어서기 어려울 것 같기도 하고 나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탓하면서 하나님의 기쁨이 되고 영광이 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열심을 내고 은혜 가운데 서 있다가도 한순간 실망하고 넘어지기도 하는 것이 우리들의 모습인 것을 봅니다.

 

그때 부활하신 예수님의 생명이 우리에게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실패한채로 두시지 않고 그 생명으로 우리를 회복시키시고 일으키셔서 이듬해 다시 꽃을 피울 수 있도록 하시는 부활의 생명이 우리에게 있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봄이 다가옵니다. 아직도 가끔은 눈이 날리기도 하지만 그래도 다가오는 봄기운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이제 나무들도 새순을 준비하고 땅 아래서도 부지런히 새싹들을 준비할 것입니다. 식물들도 새 생명을 싹틔우는데 우리들도 다시 생명의 일들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교회가 세워진지 44년의 시간을 자나고 있습니다. 오늘 새생명의 소망이 온교회 가운데 넘치기를 기도합니다.


  1. NEW

    높고 멀리 날기를 원합니다

    신천옹은 슴새목(Procellariiformes) 알바트로스과(Diomedeidae)의 거대한 새로써 몸길이가 84~91cm지만 날개를 펴면 2.3~3.7m에 이르는 북태평양에서는 가장 덩치가 큰 알바트로스 종류의 새입니다. 영어 명으로는 짧은 꼬리 알바트로스(Short-tailed Albatr...
    Date2024.06.28
    Read More
  2. NEW

    예술가와 그의 인생 

    에디트 피아프(Edith Piaf, 1915~1963)는 제1차 세계대전 중이던 1915년 겨울 파리의 빈민가에서 떠돌이 곡예사인 아버지와 거리의 가수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생후 2개월 만에 어머니에게 버림을 받은 그녀는 외할머니와 친할머니들의 손에서 자...
    Date2024.06.28
    Read More
  3. 목사와 그리스도인 

    2차 세계대전 중에 독일의 히틀러에 반대하여 히틀럼 암살작전이 있었습니다. 일명 “작전명 발키리”로 알려진 작전이었고 여기에 꽤 특별한 사람이 가담했다고 알려졌습니다. 그는 독일의 신학자 디트리히 본 회퍼라는 인물입니다. 본 회퍼는 우...
    Date2024.06.11
    Read More
  4. 평안의 이유 

    지난 일주일간 몸이 조금 무거웠습니다. 열왕기서 말씀을 묵상하면서 만나는 이야기들과 현시대의 뉴스들 사이에서 이런저런 고민들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몸이야 다른 이유로 불편할 수도 있었을테지만 들려오는 뉴스들과 묵상하는 말씀의 무거움이 이것을 ...
    Date2024.06.11
    Read More
  5. 어쩔수 없는 그리스도인

    무위당 장일순선생이란 분이 계십니다. 이미 돌아가신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소박한 농부로 그러나 생각의 거인으로 사셨던 분이시지요. 그분이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이 사람아! 바람이 서쪽으로 불어도 동으로 눕는 잎이 있는 법이...
    Date2024.05.05
    Read More
  6. 느리게 살기

    20여년 전에 “사소한, 그러나 소중한”이란 책을 쓰다가 세상을 떠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필가인 피에르 쌍소(Pierre Sansot)란 사람이 있습니다. 그가 쓴 “느리게 살기”란 책이 세상에 소개되면서 느림이란 삶의 모습에 대해 이야...
    Date2024.05.02
    Read More
  7. 십자가에 튼 둥지

    매년 봄이되면 교회 입구에 있는 십자가에 새가 둥지를 틉니다. 아마도 바람을 피하기도 좋고 밤에도 작은 빛이 있어서 보온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겠다 싶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교회를 들어 설 때면 어미새들이 경계하며 날아 오르는 것을 봅니다. 십자가 ...
    Date2024.04.21
    Read More
  8. 잃어버린 것들

    예전에 미국에서 방영한 “lost” 드라마가 있습니다. 길을 잃은 사람들 이야기이자 비행기 추락으로 세상과 단절된 곳에 남은 사람들 이야기입니다. 그들은 잃어버린 바 된 사람들이지만 또 잃어버린 사람들이기도 합니다. 때로는 사랑을, 삶을 이...
    Date2024.04.16
    Read More
  9. 행복 비용

    누군가를 행복하게 할 수 있는 비용이란 말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그리 눈 앞에 그려지지 않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일상에서 누군가로 인해 행복해 하고 누군가에게 기쁨을 주기 위해 노력하기도 해서 그 순간 드는 비용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물론 내가 사랑...
    Date2024.04.09
    Read More
  10. 커피와 묵상

    한국인들의 커피 소비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기사가 있습니다. 일인당 일년 평균 소비량이 370잔 정도여서 프랑스에 이어 2위이고 이 수치는 미국, 캐나다와 비슷하지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특별한 커피를 찾아 마...
    Date2024.03.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