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15 14:05

멈춤으로 성장한다.

조회 수 1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xe-984008.jpg

 

 

미국의 교육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존 듀이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울 때에 경험보다 중요한 것은 되돌아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않는다. 우리는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배운다.”

 

사람은 경험을 통해 무엇인가를 배우는 존재들입니다. 학습을 통해 배우는 것 역시 경험이 동반될 때 나의 것으로 변화되는 힘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경험도 그대로 우리에게 배움을 주지는 않습니다.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이 서로 다른 결과를 얻는 것을 보면 무엇을 똑같이 경험한다고해서 모두가 다 그것으로부터 같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닌것이 분명합니다.  

 

우리는 무엇을 배우고 또 경험하더라도 잠간 멈추어서 내가 배우고 경험한 것들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을 가질 때에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공부를 할 때에도 계속해서 무엇을 외우고 공부하는 것보다 내가 공부한 것을 한번 정리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때에 그것이 내것이 되는 것을 경험합니다.

 

옛말에도 나무꾼이 도끼를 가지고 나무를 벨때에도 쉬지않고 나무를 찍는 사람보다 중간 중간에 쉼의 시간을 가지면서 자기가 가진 도끼의 날을 벼르는 사람이 더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렇게 중간에 쉬는 시간을 가지고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을 점검하고 힘을 재충전하는 것과 가진 장비를 정비하는 것은 다른 의미에서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 보는 것과 비슷합니다. 

 

캠핑을 가거나 간혹 집에서 모닥불을 피우고 아이들과 시간을 보낼 때가 있습니다. 큰 나무를 세우고 불을 붙이자면 많은 종이를 사용하거나 시간이 필요합니다. 심지어 불을 붙이다가 힘을 다 빼기도해서 미리 도끼로 나무를 가늘게 쪼개어서 밑에 불을 붙이는 용도로 세우는 지혜를 발휘합니다. 집에 있는 도끼가 꽤 오래되었어도 한번도 날을 세울 생각을 해보지 않았습니다. 도끼라는 것이 그리 날카로운 날을 가것도 아니고해서 힘으로 나무를 자르곤 했습니다. 어느날 잔디깍기 날이 무뎌져서 갈아야하기에 사온 줄(Flat File)이 있어서 도끼의 날을 세워주었습니다. 역시 날이 서고나니 훨씬 일하기가 쉽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같은 경험을 합니다. 비단 무엇인가 도구를 정비하거나 공부하는 것을 정리하는 시간이 아니라도 열심히 살아가는 시간 중에 잠간의 정비의 시간을 가지면서 내가 가고 있는 길을 돌아보는 것은 꽤 중요한 시간입니다. 휴가이거나 여행이 아마 그런 시간을 가지게 되는 쉼의 시간일겁니다.

 

신앙생활에서는 이 정리 혹은 성찰의 시간이 어떻게 적용 될 수 있을지를 생각해봅니다.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면서 내가 믿고 살아가는 삶의 방향과 모습을 점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내가 잘 믿고 있는지 성경의 말씀을 오해없이 읽고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아야합니다. 

 

그런의미에서 말씀묵상은 우리가 믿고 따라가는 성경말씀을 다시 세겨보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읽으며 읽은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묵상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깨달은 말씀을 내 삶에 잘 적용하기 위해 고민하는 시간도 필요합니다. 내 삶을 돌아보면서 중간에 서서 과연 나는 그리스도인으로 잘 살고 있는지를 성찰하는 것이 조금은 우리의 삶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일입니다.

 

또 일주일에 하루인 주일을 따로 정하여 하나님을 예배하는 날로 만드신 것도 같은 의미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가 열심히 달려가는 삶속에서 하루를 정하여 멈추어서서 나를 돌아보고 육체와 마음을 쉬는 것도 중요하고 그날 나를 구원하신 하나님을 기억하면서 예배하며 그분이 허락하시는 은혜를 사모하는 것이야말로 도구의 날을 벼르는 것보다도 중요한 일입니다. 또 코로나로인해 어쩔수 없이 조금은 더디게 지나가는 시간이 그렇게 우리를 성찰하는 시간이길 기도합니다.


  1. 잡히시던 날 밤에 우리는?

    마가복음 14:43~52 14:43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곧 열둘 중의 하나인 유다가 왔는데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장로들에게서 파송된 무리가 검과 몽치를 가지고 그와 함께 하였더라 14:44 예수를 파는 자가 이미 그들과 군호를 짜 이르되 내가 입맞추는 자가...
    Date2020.04.08
    Read More
  2. 아름다운 사진 한 장

    요즘 새벽기도회를 마치고 교회 앞을 나서면 조용한 새벽 빛에 안개낀 풍경이 멋지게 펼쳐집니다. 해도 아직은 완전히 빛을 내지 않고 동이 터오는 동쪽 하늘은 붉게 빛을 냅니다. 그 옅은 빛을 받은 풍경에 안개가 조금 덮이면 그 새벽의 그림은 마음을 평안...
    Date2016.09.06
    Read More
  3. 길 위에서

    낫선 곳으로의 여행은 늘 약간의 긴장과 설레임으로 우리를 들뜨게합니다. 익숙한 곳을 떠나 그동안 내가 가보지 않은 장소로 떠나거나 전혀 만나보지 못했던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은 생소하지만 즐거운 경험입니다. 낫섦이 주는 두려움은 이내 ...
    Date2016.01.26
    Read More
  4. 걸음을 멈추지 않으면

    한동안 한국에 소개되어 붐을 일으켰던 “산티아고 순례길”이란 곳이 있습니다. 요즘 한국에 수없이 많이 만들어진 올레길, 둘레길등의 원조격이기도 한 스페인을 가로지르는 길의 이름입니다. 몇개의 루트가 있지만 프랑스길이 가장 많이 알려져 ...
    Date2018.05.01
    Read More
  5. 크고 작은 소망으로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 살며 교회에서 섬기는 매기존스라고 하는 여성의 글을 Christianity today에서 보았습니다. “나는 종종 뭔가 대단한 일을 하는 꿈에 사로잡히곤 했다. 인생을 바꿔 놓을만한 책을 쓰고, 숱한 군중이 모인 스타디움에서 사람들의 ...
    Date2020.01.07
    Read More
  6. 멈춤으로 성장한다.

    미국의 교육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존 듀이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울 때에 경험보다 중요한 것은 되돌아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않는다. 우리는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배운다.” 사...
    Date2020.09.15
    Read More
  7. 건강한 몸과 건강한 마음

    어릴 때 운동회를 하면 늘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란 슬로건이 생각이 납니다. 그것 때문인지 몰라도 이후로 육체가 건강해야만 정신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 이 말은 고대 로마의 시인이었던 유베나리스가...
    Date2017.05.31
    Read More
  8. 일상의 순례자

    청파교회 김기석 목사님의 글을 읽다가 생명이란 단어를 풀어 놓은 것을 보았습니다. 생명(生命)이란 단어는 生이라는 글자와 命이라는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인데 이 두 글자가 의미하는 바를 풀어 놓은 것입니다. 풀이나 나무가 자라듯이 주어진 조건에서 살...
    Date2018.01.10
    Read More
  9. 감동받는 것과 사는 것은 다르다

    주보에 실을 시를 시를 찾다가 ‘17세기의 어느 수녀의 기도’라는 시를 만났습니다. 작자도 알려지지 않고 실제로 17세기 어는 수녀의 기도문을 옮겨 놓은 것인지 알수 없는 시를 만났습니다. 한국의 여러 시인들이 이 시를 번역하고 옮겨 책에 실...
    Date2019.01.15
    Read More
  10. 믿음을 가지고 산다는 것은

    2014년 8월, 진화생물학자이자 유명한 무신론자인 리처드 도킨스에게 한 여성이 가상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물었습니다. “제가 정말로 다운증후군 아이를 임신한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정말 윤리적 딜레마가 아닐 수 없군요.” 도킨스는 몇 초 ...
    Date2019.05.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