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ands-1838658_960_720.jpg

 

 

가끔 뜨거운 불에 손을 데일 때가 있습니다. 부주의한 덕분에 꽤 큰 고통을 맛보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피부는 참 약하고 예민해서 작은 바람도 느낄 수 있는가하면 가끔은 뜨거운 것을 먹거나 잡기도 하고 큰 힘에 눌려도 상처가 나지 않을만큼 강하기도 합니다. 다 하나님이 만드신 신비 때문일겁니다. 

 

과학자들이나 의사들은 인체의 신비를 파헤치면 할 수록 하나님의 창조를 생각하게 된다고들 합니다. 도무지 인간의 지식으로 생각하거나 만들어 낼 수 없는 신비함 때문입니다. 너무도 섬세하지만 한없이 강할 수 있고 또 약하게 연결되어 있는 관절이지만 무거운 무게를 거뜬히 견뎌 내기도 합니다.

 

창세기는 하나님이 사람을 “흙으로 빚으셨다”고 말합니다. 물론 그 의미가 땅의 진흙을 이겨 인형을 만들듯이 하셨다는 의미라기보다는 흙으로 표현되는 물질들을 사용하셔서 인간을 창조하셨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그리고 흙이라는 단어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계를 이루는 물질 그 원소들을 의미하는 단어이기도합니다. 그러나 그저 흙이라고 생각해도 전혀 문제는 없습니다. 세상을 이루고 있는 원소들은 거의가 흙에 존재한다고 이해해도 문제는 없을테니 말입니다.

 

흙은 참 다양한 것들을 품고 있습니다. 사전적으로도 흙은 암석의 가루와 유기물질, 물과 미생물, 그리고 공기가 석여 있는 것이러고 정의합니다. 그냥 생명의 없는 돌가루만이 아니라 그 안에 생명을 기를 수 있는 양분과 에너지 그리고 생명의 가능성도 함께 품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지를 생명의 어머니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땅에 곡식의 씨앗을 심으면 씨앗에 담긴 생명이 흙 안에서 양분을 얻고 물과 공기를 통해 성장의 에너지를 얻어 자라게 됩니다. 그 놀라운 비밀은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면서 먼저 땅을 만드시고 물을 나뉘게 하셔서 그 땅에 식물을 창조하시므로 시작한 신 작업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그 땅의 흙으로 인간을 만드신 것입니다.

 

어렸을 때에 놀다가 상처가 나면 고운 황토흙을 상처에 바르곤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른 약을 찾기 쉽지 않던 시절이기도 했고 피를 멈추고 계속 놀아야 했기에 그런 행동을 했을겁니다. 그렇게 흙을 바른 상처는 이내 딱지가 앉고 상처가 아물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이야 흙이 오염되어서 그렇게 할 수 없을테지만 오염되지 않은 흙은 사람의 몸을 치유하는 힘이 있습니다.

 

반면에 세상에서 강한것의 대표적인 것이 쇠라고하면 그 쇠를 가지고 여러가지 도구나 제품을 만들게 됩니다. 요즘이야 여러 합금이며 플라스틱도 만들어졌지만 그래도 쇠로 만드는 것이 튼튼합니다. 그런 쇠를 가지고 무엇을 만들 때에 첫 과정은 쇠를 녹여 쇳물을 만드는 것이고 이것을 어떤 틀에 부어 형태를 만들고 두드리거나 다듬어서 다른 제품들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강한 쇠를 녹이려면 굉장히 높은 온도가 필요하고 그렇게 녹은 쇳물의 온도는 무엇이든 녹일 만 합니다. 그런데 이 쇳물을 담는 용기도 용광로를 만드는 내부도 다른 것이 아닌 흙으로 만듭니다. 흙은 불은 만나도 쇠를 만나도 그것을 담을 수 있을 만큼 강하기 때문입니다. 

 

그냥 흙을 물에 이겨 그릇을 만들면 단단하기는 하지만 물에 쉽게 망가집니다. 그러나 이것을 불에 구우면 그 강도가 훨씬 세어지고 물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됩니다. 그렇다고 그 그릇을 이루고 있는 흙의 성분이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흙이 물을 만나 모양을 빚고 불을 만나 강하고 아름다운 그릇이 되는 것입니다.

 

흙으로 만들어진 우리 존재를 생각합니다. 하나님이 이토록 놀라운 지혜를 통해 빚으신 우리도 아마 물과 같은 하나님의 은혜를 만나 부드러워 지며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양으로 빚어 질겁니다. 그리고 불로 연단되어지며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운, 세상이 보기에 영광스러운 하나님의 자녀로 만들어 지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여전히 물도 불도 필요한 상태이지만 아름답게 빚어질 모습을 소망해 봅니다.


  1. 언덕을 넘어

    사람들은 손을 들어 가리키지 높고 뾰족한 봉우리만을 골라서 내가 전에 올라가 보았던 작은 봉우리 얘기 해줄까 ? 봉우리! 지금은 그냥 아주 작은 동산일 뿐이지만 그래도 그때 난 그보다 더 큰 다른 산이 있다고는 생각지를 않았어 나한테는 그게 전부였거...
    Date2014.10.29
    Read More
  2. 사랑은 그만두지 않는다

    전신이 마비되는 병을 앓고 있는 아내를 병상에서 7년 넘게 간병하고 계신 김재식집사님의 책 <그러니 그대 쓰러지지 말아>안에 있는 글중에서 “나는 바람, 나는 깨어진 돌맹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새들은 노래하고 바람은 울고 간다. 새들은 머무른 흔적...
    Date2014.12.02
    Read More
  3. No Image

    거침없는 사랑 앞에서

    김용택시인은 그의 시 ‘그대, 거침없는 사랑’이란 시에서 이렇게 노래합니다. 아무도 막지 못할/ 새벽처럼/ 거침없이 달려오는/ 그대 앞에서 나는/ 꼼짝 못하는/ 한떨기 들꽃으로 피어납니다.... 중략.... 누구의 사랑인지 알지 못하지만 저는 하...
    Date2015.11.25
    Read More
  4. 꽃 때가 아니어도

    안디옥 어르신들을 모시고 봄 나들이를 다녀 왔습니다. 벌링턴에 있는 꽤나 큰 식물원인 Royal Botanical Gardens를 하루 다녀 욌습니다. 여러개의 가든들이 각기 테마를 가지고 꾸며져 있어서 꽤 볼거리들이 많은 곳인데 아직은 날이 이른 모양이었습니다. ...
    Date2016.05.24
    Read More
  5. I Love Brenden

    브랜든 포스터(1997년 10월 4일 - 2008년 11월 21일)는 워싱턴 주 보텔(Bothell)에서 태어나 자랐습니다. 그는 빨리 달리기와 높은 곳에 오르기를 좋아하는 평범한 소년이었습니다. 그는 커서 바다의 사진사가 되는 것이 꿈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는 8살이 되...
    Date2014.08.26
    Read More
  6. 사람을 빚으신 흙을 생각하다

    가끔 뜨거운 불에 손을 데일 때가 있습니다. 부주의한 덕분에 꽤 큰 고통을 맛보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피부는 참 약하고 예민해서 작은 바람도 느낄 수 있는가하면 가끔은 뜨거운 것을 먹거나 잡기도 하고 큰 힘에 눌려도 상처가 나지 않을만큼 강하기도 ...
    Date2020.11.17
    Read More
  7. 선하고 아름답게

    우리말 글쓰기를 잘하는 한 사람을 꼽으라면 저는 지금은 은퇴하시고 성공회대 석좌교수로계신 신영복선생님을 이야기합니다. 감옥에서의 깊은 사색의 시간이 선생님으로 하여금 정갈하게 글을 쓰는 힘을 길러 주었겠다고 생각합니다. 더욱 글쓰기 뿐만 아니...
    Date2014.05.27
    Read More
  8. 씨앗이 가진 생명력

    건강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이런 저런 음식들이 몸에 좋다는 말을 듣습니다. 그런데 그 음식들이 때로는 몸에 좋았다가 또 대로는 그렇지 않기를 반복해서 종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결국에는 맛있는 음식을 조절해서 균형있게 먹는 길을 택하게 됩...
    Date2018.02.14
    Read More
  9. No Image

    있는 그대로를

    요즘은 참 많은 색들이 우리 주변을 덮고 있습니다. 새로 올라오는 새싹들이 보여주는 생명의 색들이며, 조그마한 줄기에 붙은 알록달록한 예쁜 꽃들이 보여주는 아름다운 색들은 우리 마음을 즐겁게합니다. 나무는 나무대로 꽃은 꽃들대로 자기가 가진 아름...
    Date2014.05.20
    Read More
  10.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나님, 이것이 당신의 자비의 자녀들이란 말씀입니까? 이것이 당신이 창조하신 세상이란 말입니까? 오, 당신의 피조물들이 이렇게 고통을 당해야만 하니까? 우리는 분명 너무나 당신으로부터 멀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곧 끝장이 날 것입니다. 우리는 더 이상...
    Date2014.04.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