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17 11:55

기억, 잊음

조회 수 1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hotographs-256888_960_720.jpg

 


오늘 뉴스에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컴퓨터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떳습니다. 대기업이나 인터넷 쇼핑, 개인 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지 않는 곳이 없는 소프트웨어가 헤킹 위협에 노출 되었다는 것입니다. 어떤 프로그램 된 채팅 메시지를 입력하기만 하면 그 계정이나 컴퓨터를 자기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평범한 개인에게야 크게 와닫지 않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이런 문제가 점점 아무런 상관 없는 개인에게도 영향을 주는 세상이어서 걱정도 됩니다.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웹사이트나 컴퓨터가 문제를 일으키면 그동안 만들고 저장해 놓은 모든 자료들이 한 순간에 다 없어져 버리고 맙니다. 컴퓨터를 잘 알지 못하는 세대들은 그저 허망하게 이런 일들을 당하게 되고 다시 새로 시작해야 하곤 합니다. 세상이 발전하고 모든 것이 컴퓨터로 작동되는 시대가 되고나서는 어느 즈음 부터는 약간 바보가 된 듯이 그저 하라는대로 따라 가는 수 밖에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무엇이든 찾을 수 있고 저장 되어 있는 세상이지만 정작 잘 찾아지지 않는 것 같아 보입니다. 전화기에서 어느날 5년전 기억이라며 사진을 보여주지만 정작 나는 그 사진이 어디에 있는지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러다가 어느날 내가 저장한 사진들이 전부 사라질 것이라고 옮겨 놓으라는 메일을 받습니다.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잘 가늠이 안된다고 말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예전에야 집에 차곡 차곡 사진을 정리해서 사진첩에 모아두고 또 필요한 서류들이나 기록들도 잘 보관해 두곤 했습니다. 덕분에 이사하려고 집을 정리하다가 보면 잊었던 옛 기억과 만나 반가와 하기도 합니다. 그것이 낭만 같아 보이기도 하지만 또 그 역시 조금은 더 편리해지고 간편해 진 것이 분명합니다. 옛 기억들도 물난리가 나거나 혹 실수로 정리해 버리고 나면 도무지 찾을 수 없게 되는 것은 마찬가지니 말입니다.


사람들은 기억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공부한 기억과 무엇인가를 습득한 기억이 우리의 삶을 살아가는 지혜가 되게 합니다. 반면에 잊혀지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도 있습니다. 나의 실수와 실패의 기억들이나 흔히 이야기하는 흑역사들은 다시 꺼내고 싶지 않은 것들이어서 사라지면 좋겠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아름다운 기억을 추억이라 말하고 그 추억은 우리가 헛헛한 마음이 될 때 우리를 지켜주고 따뜻하게 하는 힘이 됩니다. 반대로 아픈 기억은 잊혀짐으로 우리에게 위로를 주지만 또 그 기억을 잘 붙들고 애쓰고 노력해서 극복하면 한 걸음 성장하는 밑 바탕이 되기도 합니다. 발명가 에디슨은 1만번의 실패는 실패가 아니라 성공하지 않은 만번의 방법을 찾은 것이라고 했다지만 그렇게 실패를 긍정적으로 극복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주로 잊는 것을 선택하는 모양입니다.

 

2021년이 다 지나가고 있습니다. 한 해가 기억할 것 별로 없이 빠르게 지나갔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아픈 상황과 어려운 기억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 안에서 여전히 우리는 나를 사랑하는 이들을 기억하며 지나가기를 원합니다. 사랑하는 가족들과 교회의 성도들을 기억하면 이런 시간도 추억이 되고 그들로 인해 믿음을 지키며 살아갈 용기를 얻게 될 것입니다.

 

무엇보다 그 안에 하나님의 사랑을 기억하고 하나님의 구원의 감격을 잊지 않기를 원합니다. 나를 사랑하셔서 이 세상에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어린 아기의 몸으로 보내시고 십자가에 그 몸을 찢어 주심으로 우리의 죄를 사햐 주신 그 놀라운 사랑을 기억하기를 원합니다. 그 죽음으로 끝나지 않으시고 무덤에서 일어나셔서 우리들의 소망이 되신 예수님이 지금도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사실을 잊지 않기를 원합니다.

 

성탄하신 예수님의 이름이 임마누엘이심을 기억합니다. 영원히 우리와 함꼐 하시마 약속하신 이름을 다시 찬양하면서 올 한해를 잘 마무리하고 소망 가운데 새해를 준비하기를 원합니다. 기억하는 것이 늘 더 잘 세워지기 위한 준비임을 생각합니다. 잊지않고 나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마음 깊은 곳에 기억으로 간직하면서 새해를 맞이하겠습니다. 모두 은혜 가운데 한 해를 마무리 하기를 바랍니다.


  1. 목사와 그리스도인 

    2차 세계대전 중에 독일의 히틀러에 반대하여 히틀럼 암살작전이 있었습니다. 일명 “작전명 발키리”로 알려진 작전이었고 여기에 꽤 특별한 사람이 가담했다고 알려졌습니다. 그는 독일의 신학자 디트리히 본 회퍼라는 인물입니다. 본 회퍼는 우...
    Date2024.06.11
    Read More
  2. 평안의 이유 

    지난 일주일간 몸이 조금 무거웠습니다. 열왕기서 말씀을 묵상하면서 만나는 이야기들과 현시대의 뉴스들 사이에서 이런저런 고민들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몸이야 다른 이유로 불편할 수도 있었을테지만 들려오는 뉴스들과 묵상하는 말씀의 무거움이 이것을 ...
    Date2024.06.11
    Read More
  3. 어쩔수 없는 그리스도인

    무위당 장일순선생이란 분이 계십니다. 이미 돌아가신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소박한 농부로 그러나 생각의 거인으로 사셨던 분이시지요. 그분이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이 사람아! 바람이 서쪽으로 불어도 동으로 눕는 잎이 있는 법이...
    Date2024.05.05
    Read More
  4. 느리게 살기

    20여년 전에 “사소한, 그러나 소중한”이란 책을 쓰다가 세상을 떠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필가인 피에르 쌍소(Pierre Sansot)란 사람이 있습니다. 그가 쓴 “느리게 살기”란 책이 세상에 소개되면서 느림이란 삶의 모습에 대해 이야...
    Date2024.05.02
    Read More
  5. 십자가에 튼 둥지

    매년 봄이되면 교회 입구에 있는 십자가에 새가 둥지를 틉니다. 아마도 바람을 피하기도 좋고 밤에도 작은 빛이 있어서 보온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겠다 싶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교회를 들어 설 때면 어미새들이 경계하며 날아 오르는 것을 봅니다. 십자가 ...
    Date2024.04.21
    Read More
  6. 잃어버린 것들

    예전에 미국에서 방영한 “lost” 드라마가 있습니다. 길을 잃은 사람들 이야기이자 비행기 추락으로 세상과 단절된 곳에 남은 사람들 이야기입니다. 그들은 잃어버린 바 된 사람들이지만 또 잃어버린 사람들이기도 합니다. 때로는 사랑을, 삶을 이...
    Date2024.04.16
    Read More
  7. 행복 비용

    누군가를 행복하게 할 수 있는 비용이란 말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그리 눈 앞에 그려지지 않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일상에서 누군가로 인해 행복해 하고 누군가에게 기쁨을 주기 위해 노력하기도 해서 그 순간 드는 비용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물론 내가 사랑...
    Date2024.04.09
    Read More
  8. 커피와 묵상

    한국인들의 커피 소비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기사가 있습니다. 일인당 일년 평균 소비량이 370잔 정도여서 프랑스에 이어 2위이고 이 수치는 미국, 캐나다와 비슷하지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특별한 커피를 찾아 마...
    Date2024.03.26
    Read More
  9. 소풍

    천상병시인은 이 세상의 삶을 소풍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땅으로 소풍왔다가 이제 다시 집으로 돌아 가는 것이 삶이라고 말입니다. 어떤 이들은 여행으로 또 다른 이들은 치열한 전투로도 표현하지만 그리스도인들에게 인생은 나그네의 삶입니다. 나그네로 사...
    Date2024.03.20
    Read More
  10. 음악이 주는 힘

    가끔 아프리카 사람들의 음악을 듣습니다. 굳이 흑인음악으로 표현하지 않고 아프리카 사람들의 음악이라고 하는 것은 현대적으로 변화되지 않은 아프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의 음악이라는 의미에서 일 것입니다. 고등학교를 다니던 언젠가 길에서 우연히 듣게 ...
    Date2024.03.1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