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um-7174806_960_720.jpg

 

꽤 오래전에 소설가 김주영이 쓴 “잘가요 엄마”라는 책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그 책을소개하면서 작가는 자신의 참회의 고백과 같은 소설이라고 말합니다. 자기 어머니에 대한 소설을 쓰면서 소설과 사실 사이에서 지독히 고만했다고 말합니다. 결국 그는 사실을 쓰는 쪽을 탞했고 그것은 자기에게는 아프고 힘겨운 일이었다고도 말합니다.

 

어머니에 대해서 사실을 이야기 하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었다고 말합니다. 어머니의 상처와 아픔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던 아들의 모습과 그런 아들을 위해 국가에서 주는 상도 마다하고 헌신한 어머니의 모습은 소설 안에 담담하게 그리고 때로는 건조하게 그려지고 있습니다. 작가는 이 소설을 쓰고 나서 비로소 속이 후련해 지는 것 같았다고 고백합니다. 아마도 어머니에 대한 작가만의 솔직한 고백이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이들에게 하나님을 대신하여 엄마라는 존재를 주셨다고 말합니다. 옛 어른들의 세대와는 달라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어머니의 존재는 그 자녀를 향한 헌신과 사랑을 통해 이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어 갑니다. 어머니도 자기 개인의 삶을 빛나고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그로 인해 존경받는 시대이지만 여전히 어머니로써 자녀들을 품고 헌신하는 것을 덮어버리진 못합니다. 아무리 위대한 인물이어도 어머니의 이름 앞에 겸손할 뿐입니다.

 

앞서 작가가 고백한 이야기를 곰곰히 생각해 보았습니다. 우리는 가까운 사람들에 대하여 솔직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별히 나의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해서 솔직하게 접근하고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미 그 이름이 가지는 무게가 있고 그 아들과 딸로 살아가는 나의 삶이 있기에 가끔은 미화하기도 하고 때로는 과장하기도 합니다. 어떤 것들은 감추고 또 어떤 것들은 나의 바램과 기대를 담아 말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나의 어머니는 우리의 말 속에서도 세상이 기대하는 모습에 갖혀 있게되는 수가 많습니다. 


사실 어머니는 어머니이기 이전에 한 사람이며 이 땅에서 살아가는 한 개인입니다. 그리고 그 한 개인에게 하나님은 어머니라는 말할 수 없는 놀라운 책임과 직분을 맡기셨습니다. 

 

성경에는 여러 어머니들이 나옵니다. 그리고 유독 성경은 자녀들을 신실한 사람을 키워낸 어머니들에 대해 주목합니다. 그들의 이름은 그저 누구의 어머니로 기록되고 있을 뿐이지만 그로써 하나님의 인정을 받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물론 한 개인으로 여성들의 이름도 성경은 기록합니다. 사사 드보라나 왕비 에스더의 용기와 헌신은 믿음으로 살아간 개인의 삶으로 충분히 아름답습니다. 또 성경은 그런 개인의 이름으로 소개할 뿐 아니라 하나님이 맡기신 직책을 통해 그들의 충성과 헌신을 믿음으로 소개하기도 합니다. 그 중에 또 아름다운 직책이 바로 어머니인 것입니다. 가정을 믿음으로 세우고 자녀들을 믿음으로 양육하여 하나님의 쓰실만한 일꾼이 되기까지 가르치는 어머니들의 수고는 한 나라를 다스리는 왕의 직책과 비교해서 조금도 부족하지 않습니다.

 

어머니 날이 되면 어머니에 대해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게됩니다. 그리고 그 어머니들의 이야기는 우리의 기대와 세상이 그러 놓은 경계 안에 있게 될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어머니들에게 그런 경계를 넘어서 하나님 앞에 한 개인으로 맡기신 삶을 멋지게 살아내는 믿음의 사람의 모습을 보기를 원합니다. 없기 때문이 아니라 그 모습으로 축복하고 위해 기도하며 세워지기를 원합니다.

 

누군가의 어머니이기 전에 하나님의 구원을 받은 하나님의 자녀이며 하나님이 부르신 부르심의 소명을 따라 맡겨진 삶을 신실게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하나님이 축복하시리라 믿습니다. 하나님이 맡기신 사명을 따라 아버지와 어머니로 또 교회의 직분자로 서기를 원합니다. 하나님을 고백하며 살아가는우리의 삶의 터전에서는 그 자리에 합당한 믿음의 고백을 가지고 기뻐하며 승리하는 삶이기도 바랍니다. 

 

늘 죄송함과 속상함을 가지고 돌아보는 부모님에 대한 생각을 나의 자녀들을 위한 사랑과 헌신으로 바꾸어 가기를 원합니다. 나아가 우리 교회 보내주신 다음 세대들을 사랑하는 일에 기도와 수고를 아끼지 않는 멋진 믿음의 보모들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1. 나는 어떤 풍경일까?

    정현종시인의 시중에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는 시에서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는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가장 행복할 때라고 했습니다.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난 다는 것은 어떤 ...
    Date2019.03.19
    Read More
  2. 자녀를 위한 눈물

    한국에서 청년사역을 하는 후배목사로부터 지금 청년들이 처한 상황과 모습이 너무도 안타깝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어느때보다 부유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어느때보다 가난한 세대이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애쓰고 노력해도 가지고 태어난 형편을...
    Date2022.09.03
    Read More
  3.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날이 꽤 더워졌습니다. 가끔 비가 와서 후덥지근하지만 그래도 캐나다의 여름은 참 좋습니다. 그리 뜨겁지도 않고 그늘에만 들어가면 시원하고 쾌청한 것 같습니다. 언제 그 추운 겨울이었는지 잊을 만큼 뜨거운 태양이 머리 위에서 내리쬐면 아주 작게나마 ...
    Date2019.07.23
    Read More
  4. 기본에 충실하기

    예전에 한국에서 입시가 지나면 늘 회자되는 인터뷰들이 있었습니다. 그해 대학입시에서 최고점을 맞았거나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신문이나 방송과 인터뷰를 하면서 하는 말들말입니다. 한결같이 하는 말이 “교과서에 충실했고 예습과 복습을 철저히 ...
    Date2017.02.22
    Read More
  5. 말씀묵상/하박국 1:1~11

    하나님의 침묵을 채우는 기도 1:1 선지자 하박국이 묵시로 받은 경고라 1:2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니 어느 때까지리이까 내가 강포로 말미암아 외쳐도 주께서 구원하지 아니하시나이다 1:3 어찌하여 내게 죄악을 보게 하시며 패역을 ...
    Date2020.05.27
    Read More
  6. No Image

    좋아 하는 것

    저는 유독 강을 좋아 했습니다. 굳이 과거형을 쓰는 것은 지금도 강가를 거닐고 앉아 생각하는 것을 좋아 하지만 전보다는 훨씬 그 시간이나 횟수가 적기 때문입니다. 마음에 이런 저런 고민이 있을 때나 누군가와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을 때, 아니면 아이...
    Date2015.05.26
    Read More
  7. 나무처럼

    누가 그런 글을 썼더군요. 예수님의 삶은 마치 나무와 같다고 썼습니다. 아니 나무를 닮았기도 하지만 늘 나무와 관계가 있었고 그 나무를 통해 예수님의 성품을 보여주시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나실 때부터 낮고 천한 곳인 말구유에 누이셨고 이 땅...
    Date2019.06.04
    Read More
  8. 어머니에 대해 말하기

    꽤 오래전에 소설가 김주영이 쓴 “잘가요 엄마”라는 책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그 책을소개하면서 작가는 자신의 참회의 고백과 같은 소설이라고 말합니다. 자기 어머니에 대한 소설을 쓰면서 소설과 사실 사이에서 지독히 고만했다고 말합니다...
    Date2022.05.10
    Read More
  9. 세대를 넘어서

    최근에 MZ세대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정확히는 1980년대에서부터 2000년대에 태어난 세대들을 아우르는 말이지만 최근에 이전 세대와 다른면이 있는 세대들을 일컬어 말하는 단어로 쓰입니다. 이 전에도 각 시대를 따라 X세대니 신세대니 하는 말들이 있었...
    Date2022.07.10
    Read More
  10. No Image

    같은 걸음으로

    “길 위에서”라는 말을 참 좋아합니다. 내가 살아가는 삶 속에서 만나는 것들과 하는 일들 그리고 경험하고 견디어 내는 시간들을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 같아서입니다. 우리들의 삶은 조금은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 가끔은 좋은 길도 있고 ...
    Date2014.12.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