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ourning-2410320_960_720.jpg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면서 교회에서 함께 예배 드리고 한 마음으로 찬양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그러나 그 시기가 지나가면서 여전히 우리는 함께 하는 것과 직접 참여하는 일에 조금은 소극적이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6월이 되면서 성가대가 다시 찬양을 드리기 시작하면서 처음 올려 드린 찬양인 “은혜 아니면”이란 찬양을 들으면서 얼마나 큰 감격이 있었는지  모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 이 땅을 살아가는 일에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면 우리는 결코 설수도 신앙할 수도 없음을 고백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 사람들입니다. 전적으로 베풀어 주시는 은혜가 우리의 삶에 넘치도록 풍성하기를 기도합니다. 그러나 은혜 역시 우리의 고백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 누리게 되는 것임을 깨닫습니다.

 

은혜란 다름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출발합니다. 아무리 하나님이 한없이 크신 은혜를 베푸시고자 할지라도 우리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실패하고 있다면 우리는 주신 은혜를 다 누리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을 기뻐하고 주실 은혜를 간절히 사모할 때 우리는 은혜의 끝자락을 만지게 될 것입니다. 예수님의 옷자락을 만지며 자신의 병을 낫게 되기를 간절히 사모했던 혈루병 걸린 여인 처럼 우리도 나의 삶에 베푸실 은혜를 만나기를 사모하며 간절하게 하나님의 존전에 나아가기를 원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인격체로 만드셨습니다. 한 사람으로 바로 서기 위한 조건이기도 하지만 이것은 우리를 관계 속에 살아가도록 만드신 것입니다. 먼저는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또 우리 서로 안에 관계를 만들고 조화롭게 유지하면서 살아가도록 만드신 것입니다. 하나님이 성자 예수님과 성령 하나님과 서로 사랑하여 한 몸이신 것처럼 우리도 서로 사랑하며 함께 관계를 만들어 갈 때 우리는 풍성한 은혜 안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은혜를 사모하되 관계를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를 돌아 보는 시간이 있어야 합니다. 나는 지금 하나님과의 관계를 바로 가지고 있는지를 질문하고 나에게 주실 은혜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예배하고 기도하는 자리에 서는지를 물어야 할 것입니다. 은혜는 반드신 사모하는 이들에게 주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은혜가 필요하다고 할 때만큼은 전적으로 우리는 공동체 이전에 각 개인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바로 정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나의 예배가 하나님을 바라보고 준비된 심령으로 은혜를 사모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우리가 함께 예배 할 때에 공동체를 위해 기도하고 서로의 연약함을 도울 수 있어야 합니다.

 

마더 테레사는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나는 당신이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고 당신은 내가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함께 큰 일을 할 수 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혼자 무엇을 할 수 있기도 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누릴 수도 있지만 함게 서로의 연약함을 도울 때에 하나님이 계획하신 큰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교회로 모이고 함께 예배합니다. 서로 한 마음으로 찬양하고 서로를 위하여 기도하며 손을 들어 연약한 이들을 붙잡아 주는 것이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또 다른 걸음을 걷는 것입니다.

 

점점 더 개인적이 되고 이제는 온라인으로도 모든 일을 처리 할 수 있는 세상을 살아가지만 그래도 그리스도인으로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어 살아가는 것에는 하나님의 도우심과 성도들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은 온라인 상에 계시지 않고 우리가 드리는 예배 가운데 나의 경건 생활 가운데 임하십니다. 아울러 우리는 함께 하나님께 나아가고 서로를 돌아보며 먼저 손내미는 사랑의 고백을 통해 연합하고 격려를 받습니다. 

 

2022년의 여름을 지나갑니다. 이제 올해의 표어와 같이 일어날 때입니다. 내가 먼저 일어나 예배자가 되고 서로를 위한 예배의 동역자가 될 때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안에 그 깊은 관계 안에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1. 이 땅에서만 할 수 있는 일들

    교회 앞 화단에 조심스럽게 수선화와 튤립의 싹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긴 겨울을 지나고 어느틈엔가 봄이 왔음을 온 몸으로 알리며 언 땅을 뚫고 올라오는 싹을 보면서 살짝 흥분이 됩니다. 봄에 올라오는 새싹이지만 이제부터 가을이 지나 나무며 풀이며 겨...
    Date2018.03.28
    Read More
  2. 의미없는 삶은 없다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 유명한 영화배우인 찰리 채플린의 말입니다. 그는 이런 생각을 자기의 영화 가운데 잘 그려내고 있습니다. 사회라는 전체 안에서는 발전과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이를 위해 수고하고 노...
    Date2022.07.06
    Read More
  3. 음악이 주는 힘

    가끔 아프리카 사람들의 음악을 듣습니다. 굳이 흑인음악으로 표현하지 않고 아프리카 사람들의 음악이라고 하는 것은 현대적으로 변화되지 않은 아프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의 음악이라는 의미에서 일 것입니다. 고등학교를 다니던 언젠가 길에서 우연히 듣게 ...
    Date2024.03.12
    Read More
  4. 음식의 대가

    “너희가 어찌하여 양식 아닌 것을 위하여 은을 달아 주며 배부르게 못할 것을 위하여 수고하느냐” (이사야 55:2) 유타주 빙햄 캐년 근처에서 서식하는 한 벌새가 그 마을에서 가장 큰 빨간색 “꽃”에 부리를 갖다 대고 있었습니다. 그...
    Date2018.01.02
    Read More
  5. 은혜는 관계를 통해 얻게된다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면서 교회에서 함께 예배 드리고 한 마음으로 찬양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그러나 그 시기가 지나가면서 여전히 우리는 함께 하는 것과 직접 참여하는 일에 조금은 소극적이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6월이 되면...
    Date2022.06.22
    Read More
  6. 위로는 어렵다

    나태주 시인은 어딘지 내가 모를 곳에 있는 한 사람으로 인해 세상은 다시 한 번 눈부신 아침이 된다고 고백합니다. 그리곤 그가 지금 나와 함께 있지 못하지만 그의 행복을 빌어줍니다. 그런데 그 건네는 말이 담담합니다. ‘부디 아프지 마라’ ...
    Date2017.04.26
    Read More
  7. 위기는 선과 악을 선택하게 한다.

    하나 성선설과 성악설은 오랜동안 논쟁거리였습니다. 이에 더해 인간이 교육을 통해 선해질 수 있는가도 논쟁이 되었습니다. 원래 선한 본성을 가진 인간의 선함이 교육을 통해 커지거나 악한 본성을 누르고 선하게 만들어 갈 수 있다는 믿음이 교육을 가치 ...
    Date2021.03.10
    Read More
  8. No Image

    위기 의식

    요즘 세상은 수없이 많은 신음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물론 요즘 뿐만 아니라 늘 그래왔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인지 이제는 들리는 수많은 소식들에도 별 위기감을 느끼지 않고 삽니다. 문득 이렇게 사는 것이 잘 살고 있는 것인지를 되돌아 보게 됩니다. 뉴...
    Date2014.08.26
    Read More
  9. No Image

    웨슬리의 회심(2010년5월21일)

    웨슬리의 회심 1735년 10월 대서양 한가운데에는 존 웨슬리와 챨스 웨슬리 형제가 탄 배가 미국을 향해 가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옥스퍼드의 엘리트들로서 미국에 있는 야만인들을 대상 으로 하는 전도여행을 시작한 것입니다. 그런데 대서양에는 심한 폭풍이 ...
    Date2011.06.30
    Read More
  10. No Image

    우리의 뒤를 채워주시는 분

    눈이 많이 내리는 추운 겨울이었습니다. 순희는 그날도 통근버스를 기다리며 서있었습니다. 눈이 많은 날은 으레 그렇듯이 차들이 거북이 걸음을 쳤고, 아무리 기다리고 기다려도 통근버스는 오지 않았습니다. 바람은 불지요, 눈은 내리지요, 마음은 급하지요...
    Date2012.01.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