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10 12:15

세대를 넘어서

조회 수 1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ands-4086847__340.jpg

 

최근에 MZ세대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정확히는 1980년대에서부터 2000년대에 태어난 세대들을 아우르는 말이지만 최근에 이전 세대와 다른면이 있는 세대들을 일컬어 말하는 단어로 쓰입니다. 이 전에도 각 시대를 따라 X세대니 신세대니 하는 말들이 있었고 이렇게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되는 이유는 아마도 이전의 가치관을 따르지 않는 새로운 세대의 모습을 보게 되기 때문일겁니다.

 

인간은 시간이 흘러가면서 여러가지 변화를 갖게됩니다. 특별히 우리가 살고 사용하는 문화와 환경이 변화하면서 각 시대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이 다르고 시대의 환경에 따라 생각하고 즐기는 것들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늘 새로운 것들이 발명되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환경에 놓여지면서 이전 세대는 사용하기 힘들고 알지 못하던 것들이 일상에 익숙하게 사용되기도 합니다. 결국 인간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세상에 살게 됩니다.

 

시대가 바뀌면서 세대를 일컫는 명칭만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방식과 가치관도 변화를 겪습니다. 절대 선이란 것이 흔들리고 심지어 인간의 성과 결혼에 대한 생각가지 크게 변화하는 세상을 살아가게 됩니다. 문제는 그 안에서 우리는 어떻게 세대를 넘어서는 가치 기준을 가지고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살것인가하는 점입니다.

 

고리타분해 보이지만 진리는 변할 수 없습니다. 성경의 진리는 더욱 그러하려니와 인간이 살아가며 지키고 가르쳐야 할 진리는 결코 변화할 수 없습니다. 그 내용이 조금씩 달라지거나 다르게 적용 될지는 모르겠으나 원칙과 원리는 분명할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이 이 세상을 지으신 원리이자 다스리시는 법칙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그 진리를 우리의 다음 세대들에게 어떻게 전달하고 가르치며 붇들게 할 것인가 하는 점입니다. 우리도 쉬 붙들고 살지 못하고 자주 흔들리는 마당에 우리의 자녀들에게 말슴과 진리에 대해 잘 전달하는 것은 깊은 고민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내가 먼저 그 진리를 아는 자리에 서야 할 것입니다.

 

전윤희라는 분이 쓴 책 《나는 공부하는 엄마다》중에는 이런 구절이 나옵니다.

 

“얘들아, 너희들은 무엇이든 될 수 있어. 그 꿈에 다가서기까지 무수히 많이 넘어지기도 하겠지만 엄마가 먼저 보여줄게. 넘어져도 툭툭 털고 멋지게 일어나는 모습을. 어려운 것을 먼저 할 필요는 없다. 공부하기가 싫어지고 자신감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자녀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먼저 부모들이 그 고정을 지날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배우고 또 따르며 살아갈 때에 자녀들은 그런 부모를 통해 배우고 그렇게 사는 방향을 정하게 되는 법입니다. 그것은 비단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뿐 아니라 믿음으로 사는 신앙생활에도 중요합니다. 아니 어쩌면 믿음으로 사는 삶에는 이것이 더욱 중요하다 할 것입니다. 믿음은 보이지 않는 것을 따라 소망 가운데 걸어가야 하는 길이기에 앞서 걸어가는 이들의 걸음이 길잡이가 되기 때문입니다.

 

변화하는 시대를 살아갑니다. 또 어떤 학자들은 지금이 세계질서가 새로 재편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 안에서 여전히 하나님의 선하심을 믿으며 그리스도인으로 나의 하루를 신실하게 살아가는 성도들이기를 원합니다. 아직도 우리의 걸음은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자녀들 앞에 본이되어 걸어가는 길잡이가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실패와 실수가 다음세대가 당연하게 따라오는 실패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우리의 걸음을 살펴 볼 일입니다.

 

오늘 내가 가는 길과 걸음이 내 자녀들이 뒤에 따를 길이라 생각하면 조금은 잘 살펴보고 깊이 생각하며 길을 걸을 것입니다. 잘 알지 못하면 배우고 익혀서라도 좋은 길과 바른 길을 찾으려 할 것이도 조금 어렵고 불편한 길이 있다면 피할 수 있는 길을 찾으려 할 것입니다. 그러나 길을 걸을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목적지를 향해 가고 있는가 일 것입니다. 오늘 우리의 걸음이 하나님이 부르시고 예비하신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신실하게 진실되게 걸어가는 걸음이길 기도합니다.


  1. 나는 어떤 풍경일까?

    정현종시인의 시중에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는 시에서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는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 날 때가 가장 행복할 때라고 했습니다.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난 다는 것은 어떤 ...
    Date2019.03.19
    Read More
  2. 자녀를 위한 눈물

    한국에서 청년사역을 하는 후배목사로부터 지금 청년들이 처한 상황과 모습이 너무도 안타깝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어느때보다 부유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어느때보다 가난한 세대이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애쓰고 노력해도 가지고 태어난 형편을...
    Date2022.09.03
    Read More
  3.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날이 꽤 더워졌습니다. 가끔 비가 와서 후덥지근하지만 그래도 캐나다의 여름은 참 좋습니다. 그리 뜨겁지도 않고 그늘에만 들어가면 시원하고 쾌청한 것 같습니다. 언제 그 추운 겨울이었는지 잊을 만큼 뜨거운 태양이 머리 위에서 내리쬐면 아주 작게나마 ...
    Date2019.07.23
    Read More
  4. 기본에 충실하기

    예전에 한국에서 입시가 지나면 늘 회자되는 인터뷰들이 있었습니다. 그해 대학입시에서 최고점을 맞았거나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신문이나 방송과 인터뷰를 하면서 하는 말들말입니다. 한결같이 하는 말이 “교과서에 충실했고 예습과 복습을 철저히 ...
    Date2017.02.22
    Read More
  5. 말씀묵상/하박국 1:1~11

    하나님의 침묵을 채우는 기도 1:1 선지자 하박국이 묵시로 받은 경고라 1:2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니 어느 때까지리이까 내가 강포로 말미암아 외쳐도 주께서 구원하지 아니하시나이다 1:3 어찌하여 내게 죄악을 보게 하시며 패역을 ...
    Date2020.05.27
    Read More
  6. No Image

    좋아 하는 것

    저는 유독 강을 좋아 했습니다. 굳이 과거형을 쓰는 것은 지금도 강가를 거닐고 앉아 생각하는 것을 좋아 하지만 전보다는 훨씬 그 시간이나 횟수가 적기 때문입니다. 마음에 이런 저런 고민이 있을 때나 누군가와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을 때, 아니면 아이...
    Date2015.05.26
    Read More
  7. 나무처럼

    누가 그런 글을 썼더군요. 예수님의 삶은 마치 나무와 같다고 썼습니다. 아니 나무를 닮았기도 하지만 늘 나무와 관계가 있었고 그 나무를 통해 예수님의 성품을 보여주시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나실 때부터 낮고 천한 곳인 말구유에 누이셨고 이 땅...
    Date2019.06.04
    Read More
  8. 어머니에 대해 말하기

    꽤 오래전에 소설가 김주영이 쓴 “잘가요 엄마”라는 책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그 책을소개하면서 작가는 자신의 참회의 고백과 같은 소설이라고 말합니다. 자기 어머니에 대한 소설을 쓰면서 소설과 사실 사이에서 지독히 고만했다고 말합니다...
    Date2022.05.10
    Read More
  9. 세대를 넘어서

    최근에 MZ세대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정확히는 1980년대에서부터 2000년대에 태어난 세대들을 아우르는 말이지만 최근에 이전 세대와 다른면이 있는 세대들을 일컬어 말하는 단어로 쓰입니다. 이 전에도 각 시대를 따라 X세대니 신세대니 하는 말들이 있었...
    Date2022.07.10
    Read More
  10. No Image

    같은 걸음으로

    “길 위에서”라는 말을 참 좋아합니다. 내가 살아가는 삶 속에서 만나는 것들과 하는 일들 그리고 경험하고 견디어 내는 시간들을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 같아서입니다. 우리들의 삶은 조금은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 가끔은 좋은 길도 있고 ...
    Date2014.12.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