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14 16:28

한계를 넘어서

조회 수 1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cliff-2699812_960_720.jpg

 


마커스워쉽에서 부른 찬양 중에 “내 안의 한계를 넘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인도자인 소진영이 작사,작곡한 찬양으로 자기의 신앙고백을 담은 찬양입니다.

 

주께서 주신 모든 시간 / 헛된 것 없네 그 어느 것도
주의 뜻 알기 어려워도 / 이유 있음을 알기 원해
나의 모든 걸음이 / 주님 안에 있기에 / 주의 이야기 되네
내 안의 한계를 넘어 일하시는 주 / 크신 주의 은혜 내 삶을 이끄시네
인생의 처음과 끝을 주관하시니 / 모든 삶 주님께 맡기네

 

우리는 뚜렷한 한계를 가진 존재들입니다. 육신을 가지고 살아가기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습니다. 아무리 애써보아도 육체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은 어렵습니다. 우리의 지식과 인식의 한계도 분명합니다. 들을 수 없는 소리가 있고 볼 수 없는 것들도 있습니다. 배움에도 개인에 따라 넘어서기 어려운 한계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어떤 이들은 우리가 한계를 정하지 않는 것이 한계를 넘어서는 방법이라고 말합니다. 내가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것이 우리의 끝을 정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상상할 수 없는 것들까지를 하기 위해서는 상상도 하지 말고 그저 실행하라고 조언하기도 합니다. 아마 수없이 만은 조언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한번쯤 그런 조언을 따라 나의 한계치를 높여 보려고 하고 그것을 깨고 조금 더 높은 곳으로 향하고자 했었을 것입니다. 그러다가 몇번의 실패가 쌓이고 우리의 의지가 꺽이기 시작하면서 더이상은 그런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하지 않게 되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누군가의 비유처럼 막대기에 묶인 코끼리와 같은 존재가 되고 만 것입니다.

 

우리가 한계를 가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입니다. 그 한계를 넘어서려는 욕심도 당연합니다. 문제는 우리가 어떤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이 세상이 추구하는 것들로 나의 한계를 정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사람이 되고자 할 것이 아니라 나를 지으신 하나님을 바라보며 우리의 한계를 넘어서는 사람들이면 좋겠습니다.

누가복음 7장은예수님을 만난 백부장의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줍니다. 그 백부장은 이스라엘 사람도 아니었고 하나님을 잘 아는 환경에서 자란 것도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예수님께 나아와 자기의 병든 종을 고쳐주시기를 구합니다. 그의 상황은 아주 어려웠고 구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과 같이 예수님께 간청합니다. 예수님은 그와 함께 가시기를 허락하셨지만 백부장은 그저 사양합니다. 예수님께서 자기의 집으로 오시는 것을 감당 할 수 없으므로 그저 말씀만 하시면 종이 나을 것이라고 고백합니다.

 

이 백부장은 예수님을 통해 공간과 지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믿음의 고백을 보여줍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한계에 도달했다고 해도 예수님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는 다는 것과 우리가 아는 방식이 아니라 말씀만으로도 병을 고치실 수 있다는 놀라운 믿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믿음 가운데 한계를 넘어 설 수 있는 것은 우리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믿고 의지하는 하나님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한계가 없으십니다. 온 세상의 주인이시고 말씀으로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이시기에 그분이 하시면 우리의 한계는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됩니다. 

 

우리는 어떤 믿음의 한계에 막혀 있습니까?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아니 내가 하려고 하지 않는 것은 어떤 이유가 있습니까? 하나님의 나라를 위하여 그 복음을 위하여 살아가는 우리에게 한꼐란 없습니다. 

 

앞선 찬양을 함께 고백하기를 원합니다. 내 안에 한계를 넘어 일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붙들기를 원합니다. 내가 정해놓은 한계를 넘어 한 발 걸어갈 수 있는 2023년이 되기를 바랍니다.


  1. Truthiness

    미국의 주요 사전 출판사인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는 매년 ‘올해의 단어’를 온라인 투표로 선정해 오고 있습니다. 매년 그 해에 가장 많이 검색하고 이슈가 된 단어를 선정하는데 2006년의 단어로는 사전에 아직 등재되지 않은 신조어인 ‘Truthiness’...
    Date2014.11.28
    Read More
  2. No Image

    같은 자리에서 끝맺기를

    2014년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은 에볼라와 싸우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에볼라 환자들을 치료하던 도중 미국인 첫 에볼라 감염자가 된 의료선교사 켄트 브랜틀리, 간병활동을 하다 에볼라에 감염된 선교사 낸시 라이트볼등과 같은 사람들이었습니다. 특별...
    Date2015.07.21
    Read More
  3. “어둠 속에서 찾은 위로”

    매주마다 주보에 글을 쓰면서 거의 매번 한숨을 쉽니다. 어쩌자고 어리석은 일을 시작해서 아직도 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후회와 함께 말입니다. 글을 잘 쓰는 것도 아니요 그렇다고 꼭 글을 통해 해야 할 말이 있는 것도 아닌데도 이렇게 매주마다 무엇인...
    Date2019.07.09
    Read More
  4. No Image

    위기 의식

    요즘 세상은 수없이 많은 신음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물론 요즘 뿐만 아니라 늘 그래왔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인지 이제는 들리는 수많은 소식들에도 별 위기감을 느끼지 않고 삽니다. 문득 이렇게 사는 것이 잘 살고 있는 것인지를 되돌아 보게 됩니다. 뉴...
    Date2014.08.26
    Read More
  5. 내가 태어난 이유

    2017년 첫 주가 지나갔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시간이지만 각각 그 의미를 가지고 지나갑니다. 그중에서도 새해 첫날은 여러면에서 우리에게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님이 해와 달과 절기를 지으시고 반복되게 하신 것은 그 시간을 통해서 우리가 스스로를 돌아...
    Date2017.01.13
    Read More
  6. 사진속 시선에는

    어린시절 우연히 최민식씨의 사진을 보았습니다. 어렵고 힘들던 시기에 여전히 열심히 살아가던 한국 사람들의 삶을 인상깊게 남겼던 최민식씨의 사진은 흑백의 명료함과 인화된 흑백이 짙은 거친 질감속에서 끈질기고 열정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Date2019.08.27
    Read More
  7. 서로를 존중하며

    한 잎, 너의 이유가 무엇이든 존중한다. 그 아슬아슬한 허기까지 김주대 시인은 낙옆이란 시에서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아주 짧은 시이지만 그 안에서 마지막 나무에 아슬아슬하게 매어 달린 낙옆을 햔한 시인의 마음을 봅니다. 단풍이 아름다운 길을 가다보...
    Date2016.10.27
    Read More
  8. No Image

    봄은 계속된다

    녹슬은 심장도 피가 용솟음치는 것을 느끼게 된다. 물건을 못사는 사람에게도 찬란한 쇼윈도는 기쁨을 주나니, 나는 비록 청춘을 잃어버렸다 하여도 비잔틴 왕궁에 유폐되어 있는 금으로 만든 새를 부러워하지는 않는다. 아아, 봄이 오고 있다. 순간마다 가까...
    Date2015.03.11
    Read More
  9. 만들어진 진실?

    좀 생소하지만 위키알리티(Wikiality)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위키피디아에서 그 아이디어를 가져온 말입니다. 위키피디아는 인터넷에서 이루지는 백과사전 같은 사이트를 말합니다. 누구나 참여하여 개념을 만들어가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사이트입니다....
    Date2015.04.28
    Read More
  10. 황하도 맑아지는데

    신문에 중국의 황하가 맑아지고 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중국의 큰 강인 황하는 늘 물이 황토빛으로 가득해서 결코 맑아 지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덕분에 이름도 황하이고 그 물이 흘러드는 바다를 황해(서해)라고 부릅니다. “백년하청”라고 해...
    Date2017.11.0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59 Next
/ 59